반려동물이 한해 8만마리 가량 버림받는 것으로 집계됐다.
농림축산검역본부에 따르면 지난해 유기된 반려동물은 8만2082마리인 것으로 드러났다.
개가 5만9633마리(72.7%)로 10마리 중 7마리 이상을 차지했고, 고양이가 2만1299마리(25.9%), 기타 1150마리(1.4%)다.
지역별로는 경기도가 1만9728마리(24%), 서울 8902마리(10.8%), 부산 7051마리(8.6%), 경남 5662마리, 인천 5232마리 순이다.
인구가 많은 대도시에서 반려동물 유기가 많았다. 유기동물 발생도 계절에 따라 차이가 나 여름 휴가철이 속한 6∼8월에는 평소보다 배 가량 많았다.
이같은 숫자는 구조나 포획돼 보호소에 들어온 경우만 집계한 것이라, 실제 유기동물 수는 이보다 훨씬 많을 것으로 전망된다.
그나마 보호소를 찾는 유기동물 수가 2010년 10만900마리를 최고로 이후 점차 줄고 있다는 점은 고무적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시각이다. 2012년은 9만9300마리, 2014년 8만1200마리였다. 반려동물 등록제 시행 이후 버려지는 동물이 감소한 것으로 검역 당국은 보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국적으로 지난해 유기·유실 동물 발생에 따른 처리 비용은 128억8000만원으로 전년보다 23.5% 증가했다.
처리비용이 매년 큰 폭으로 늘고 있어 지자체의 고민이 그만큼 커지고 있다. 길고양이 중성화 비용 31억4000만원을 뺀 유기동물 처리비용은 97억40000만원으로 100억원에 육박하고 있다.
보호소 근무인력 916명의 인건비와 동물 사료비, 약품비 등 운영비가 주를 차지한다. 유기동물 한 마리당 처리비용은 11만9000원꼴이다. 지자체 형편에 따라 처리비용도 천차만별이다.
보호 공간도 부족한 현실이라, 보호기간도 짧다. 반려기간의 보호 기간은 평균 23일로 한 달이 채 되지 못한다. 새 주인을 찾지 못하면 안락사 신세가 되는 셈이다.
2마리 중 1마리 꼴인 46.6%가 주인이 찾아갔거나 분양됐으며 자연사 22.7%, 안락사 20%였다. 5마리 중 2마리 이상은 보호소에서 생을 마감했다.
동물애호가 등의 반대, 보호소의 노력 등으로 안락사 비율은 2012년 24.5%에서 매년 조금씩 줄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