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남성 흡연율 사상 처음 30%대로 하락…여성 흡연율 그대로인 이유

입력 2016-05-10 21:2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뉴시스)

성인남성의 흡연율이 사상 처음으로 30%대로 떨어졌고 청소년 흡연율도 크게 감소했다. 반면 여성의 흡연율은 0.2%포인트 하락하는데 그쳐 "정부의 금연정책이 성인남성과 청소년 금연에 편중된 것이 아니냐"는 분석이 이어지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10일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토대로 추계한 결과 작년 만 19세 이상 성인 남성의 흡연율이 39.3%로 전년의 43.1%보다 3.8%포인트 떨어진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작년 초 단행된 담뱃값 인상과 흡연구역 확대 등 금연 정책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흡연율 하락과 함께 담배회사의 판매량은 전년보다 4분의 1 가량 줄었다.

현재 흡연율은 평생 담배 5갑(100개비) 이상을 피웠고 현재 담배를 피우는 사람이 차지하는 비율을 뜻한다. 성인 남성 흡연율이 40% 이하로 떨어진 것은 흡연율 집계가 시작된 1998년 이후 처음이다.

1998년 66.3%, 2001년 60.9%, 2005년 51.6%를 기록한 뒤 2008년 40%대로 떨어졌으며 이후에도 금연구역 확대 등의 영향으로 하락세를 이어가 2013년 42.1%까지 내려갔지만 2014년에는 다시 43.1%로 반등했다.

복지부는 작년 1월 1일 자로 단행된 담뱃값 2000원 인상과 모든 음식점으로 금연구역 확대 등 금연 정책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고 있다. 복지부는 이와 함께 건강보험 재정에서 금연치료서비스를 지원했으며 강도 높은 금연 캠페인을 전개했다.

흡연율은 하락했지만 대신 전자담배 사용률은 크게 늘었다. 남성의 전자담배 사용률은 7.1%로 전년의 4.4%보다 2.7%포인트나 증가했다.

남성과 달리 여성의 흡연율은 별 차이가 없었다. 작년 성인 여성의 흡연율은 전년 5.7%보다 0.2%포인트 줄어드는데 그친 5.5%로 추정된다. 작년 남녀를 아우르는 전체 성인 흡연율은 22.6%로 전년도 24.2%보다 1.6%포인트 하락했다.

정부의 금연정책이 여성 금연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 가운데 정부의 금연정책이 "성인남성과 청소년 금연에 편중된 것이 아니냐"는 분석도 이어지고 있다.

이날 발표된 흡연율 수치는 복지부가 매년 4000가구·8000명 안팎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일부로, 추정치인 만큼 정확한 수치는 달라질 수 있다. 복지부는 매년 10월께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공식 발표한다.

복지부는 "작년 역대 최고 폭으로 남성 흡연율이 줄어든 것에는 담뱃값 인상 외에도 관련 예산을 전년 대비 13배 수준인 1천475억원 수준으로 늘리며 금연지원 서비스를 확대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며 "올해 12월 담뱃갑 경고그림 의무화가 시행되면 흡연율 하락이 더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