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현태 KB국민은행 부산PB센터 팀장
지난달 미국 연방준비제도(Feb)는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일본 중앙은행인 BOJ도 금리를 조정하지 않았고, 한국도 4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10개월째 같은 금리를 유지했다.
기준금리에 대한 입장은 각 나라의 경제상황에 따라 다르다.
미국은 양적완화 종료 이후에 각종 경제지표가 호전되면서 금리인상을 한 차례 단행한 이후 추가적인 ‘금리인상 카드’를 검토하는 반면, 다른 나라들은 여전히 어려운 경기를 회복시키기 위해 추가적인 양적완화와 금리인하 카드를 만지작거리고 있다.
이런 상황은 한국도 예외가 아니지만, 최근 한국은행이 발표한 ‘통화신용정책보고서’에 따르면 현 시점에서 금리인하는 실물경제로의 파급효과가 미미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보고서는 제로 금리에 이어 일부 중앙은행이 마이너스 정책금리를 운영 중이나 실물경제가 좀처럼 되살아 나지 않고 있다.
유로지역의 경우 2013년 2분기 이후 0%대의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는 데다 인플레이션도 낮은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덴마크와 스위스 등 소규모 개방경제 또한 경제성장률이 전반적으로 둔화되는 가운데 물가상승률도 낮은 수준을 지속하고 있다.
이 보고서는 마이너스 정책금리의 확대 운영이 은행의 수익성과 현금통화수요의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의도한 효과를 거둘 수 있을지 좀 더 지켜봐야한다고 지적했다.
이런 상황에서 과연 기준금리 인하가 경기회복에 얼마나 영향을 가져올까.
복잡한 경제지표들을 통해 그 영향력을 알아볼 수도 있지만 미국과 일본의 금리인하를 받아들이는 국민성의 차이에서 결과를 비교해 볼 수 있다.
국내총생산(GDP)에 영향을 미치는 항목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소비이다. 2013년 기준 미국의 GDP에서 소비가 차지하는 비율은 68.6%이며 일본은 61.0%이다. 결론적으로 금리인하가 소비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가에 따라 경제성장 결과로 이어진다고 보아도 과언이 아니다.
최근 몇 년간 미국과 일본은 시기의 차이는 있지만 ‘제로금리’에 가까운 상황에서 양적완화 정책을 시행했다. 하지만 현재 경기회복의 결과는 확연히 차이가 나고 있다.
왜 같은 정책을 펴도 결과가 달라지는 것일까. 그 원인 중 하나는 금리인하를 받아들이는 미국과 일본 국민의 성향 차이가 뚜렷이 구별되기 때문이다.
미국의 경우 가계 지출 비용 중 주택구입 시 모기지 비중이 높다. 따라서 금리가 인하되면 가처분소득이 증가하고 그 만큼이 소비로 이어진다.
그러나 일본은 다르다. 과거 잃어버린 10년의 긴 터널을 지나면서 부모 세대뿐 만 아니라 다음 세대들도 절약이 몸에 베어 금리인하를 곧 이자소득의 감소로 받아들인다. 이는 소비를 줄이는 미국과 반대의 결과로 나타나 여전히 디플레이션을 벗어나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이런 미국과 일본의 차이를 볼 때, 우리나라는 미국과 일본의 특징을 다 가지고 있지만, 아무래도 미국보다는 일본에 가까운 모습을 가지고 있지 않나 싶다.
최근 금융상품 운용에 있어서도 과거처럼 고수익을 기대하기가 점점 더 어려워지는 상황에서 추가적인 ‘금리인하 카드’는 금융소득이 더욱 적어지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금리인하가 소비를 일으킬 것으로 기대하기는 어렵다는 생각이다.
따라서 국내 투자에 있어서도 금리인하에 배팅하는 전략은 현 시점에서는 맞지 않는다. 금융환경이 빠르게 변화되는 만큼 섣부른 판단보다는 전문가와의 투자상담을 통해 신중하게 결정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