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인도서 중고폰 판매 추진…현지업체, 강력히 반발

입력 2016-04-04 10:5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메이크 인 인디아’가 ‘인도에 쓰레기를 버리자’로 바뀔 것”

애플이 인도 최초로 중고 스마트폰을 수입해 판매하는 업체가 되고자 정부 허가를 구하는 가운데 현지 업계가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고 4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이 보도했다.

애플은 지난해 인도 환경부에 중고폰 수입 허가를 요청했으나 거부당했다. 당시 애플의 시도는 별다른 관심을 끌지 않았으나 상황이 바뀌었다고 통신은 전했다. 인도는 세계 2위 스마트폰 사용국으로 부상했으며 미국과 중국시장이 정체 상태에 빠진 지금 애플은 인도에서의 성장 기회를 잡는 데 주력하고 있다. 인도 첫 애플스토어도 조만간 정부 허가를 받을 전망이다.

이에 현지 스마트폰 업계의 경계심도 그 어느 때보다 커진 상태다. 브랜드 인지도가 매우 높은 애플이 비교적 저렴한 중고폰을 들여와 시장 점유율을 확대할 수 있기 때문.

인도 스마트폰 업체로 월간 판매량이 170만대에 이르는 카본모바일의 수드히르 하시자 회장은 “애플 중고폰 수입 허용으로 ‘메이크 인 인디아(Make in India)’가 ‘인도에 쓰레기를 버리자(Dump in India)’로 바뀔 수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전자폐기물이 물밀듯이 들어오고 현지 제조업체들이 어려움을 겪게 돼 나렌드라 모디 총리의 제조업 살리기 프로젝트인 ‘메이크 인 인디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 현지 기업인들의 논리다.

인도 소비자전자·가전제조업협회(CEAMA)는 최근 중고 아이폰 수입 반대 로비 단체 모바일통신위원회를 세웠다. 신설된 이 위원회의 의장을 맡은 라빈데르 주치는 “자동차와 같은 다른 중고 제품에는 300%의 수입 관세를 부과하는 상황에서 왜 중고폰 수입을 고려하는지 이해할 수 없다”고 말했다. 모바일통신위원회는 마이크로맥스와 인텍스, 삼성전자 등 인도 스마트폰 시장을 장악한 업체들이 포함됐다고 통신은 덧붙였다.

많은 서구 다국적 기업들이 인도시장 공략을 위해 인도에서만 별도로 가격을 낮게 적용하는 등의 정책을 펼치고 있다. 그러나 애플은 고가인 자사 브랜드 이미지도 지키고 인도 진입 문턱도 낮추고자 중고폰 수입을 추진하고 있다고 통신은 설명했다.

애플은 지난달 399달러(약 46만원)로 시작하는 아이폰SE를 출시했지만 여전히 인도 소비자들이 구매하기에는 버겁다. 애플은 인도시장 점유율이 2% 미만에 그치고 있다. 현지에서 판매되는 스마트폰의 5분의 4가 150달러 미만이며 심지어 35달러에 브랜드 제품을 구입할 수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