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한국형 e-네비게이션 사업 본격 추진…2020년 상용화

입력 2016-03-30 11:0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사업총괄, 5월말까지 과제 수행기관 선정

한국형 e-네비게이션 사업이 본격 추진된다. 앞으로 2020년이면 자동차처럼 선박에서도 네비게이션을 사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

해양수산부는 30일 '한국형 e-네비게이션 프로젝트'를 수행할 사업단과 사업단장을 발표하고 정보통신기술 기반의 첨단 해상내비게이션 개발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이날 해수부는 한국형 e-네비게이션 사업 총괄기관으로 선박해양플랜트 연구소를, 사업단장으로 이한진 책임연구원을 선정했다.

사업단장은 사업의 기술적이고 행정적 관리를 위한 사무국을 구성하고 2020년까지 한국형 e-네비게이션 프로젝트 수행을 총괄하게 된다.

사업 착수와 동시에 프로젝트에 관한 상세기획(마스터플랜)을 실시해 오는 5월말까지 핵심과제별 수행기관을 공모를 통해 선정한다.

이번 사업은 항법지원서비스 개발, 운항모니터링 서비스 개발, 운영시스템 구축, 국제표준 선도기술 개발 등이 포함된다.

유엔 산하 국제해사기구(IMO)는 2019년 전세계적인 e-네비게이션의 이행을 위해 관련 기술논의를 추진하고 있다.

해수부도 2013년부터 한국형 e-네비게이션 프로젝트를 준비해 왔으며 2014년 11월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했다.

한국형 e-네비게이션이 실현되면 선박에서도 자동차처럼 자유롭게 내비게이션을 사용할 수 있다. 선박이 최적항로를 따라 항해를 하면 연료비 및 물류비가 절감된다.

또 바다에서도 휴대폰 통화와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고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자료를 주고 받을 수도 있다. 바다를 이용하는 체감 환경이 크게 향상될 전망이다.

해수부는 이번 사업과 더불어 그간 유럽ㆍ미주 등 전통 해양산업 강국 위주의 e-네비게이션 논의체계에서 벗어나 우리나라를 비롯한 전 세계의 해운ㆍ조선산업을 주도하는 아시아ㆍ태평양 국가들의 참여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아시아 태평양지역의 e-네비게이션 지역협의체를 창설할 계획이다.

박광열 해수부 해사안전국장은 "한국형 e-네비게이션 사업이 해양안전관리 정책을 현재의 사후대응 중심 체계에서 적극적인 사전대응 체계로 전환하는 계기가 되고 해사안전분야의 신산업을 창출하는 원동력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