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업지구(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의 피해가 채권 은행으로 이어질 우려가 커지고 있다.
입주기업에 대한 은행의 지원은 이어지고 있지만, 개성공단 내 회생 가능성이 낮은 기업이 70%에 육박하기 때문이다.
15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내 은행의 개성공단 입주기업에 대한 익스포저(피해 예상 금액)는 7748억원으로 추산된다.
개성공단 대출 1조1069억원(지난해 11월 말 기준) 중 약 70%가 부실화된다고 가정했을 때의 규모다. 이는 개성공단기업협회가 개성공단 가동 전면중단 피해에 대해 “입주기업 60∼70%가량이 도산할 것”이라고 밝힌 것을 금액으로 환산한 것이다.
개성공단 입주기업에 대규모 채권을 보유한 은행 여신담당 관계자는 “일반적인 상황이라면 대출 기업의 공장 가동이 중단될 경우 신속하게 여신을 회수한다”며 “개성공단에 대한 은행들의 지원이 계속되고 있지만 사실상 부실로 보는 게 맞다”고 지적했다.
문제는 대출 회수 가능성이 희박한 상황에서도 은행들의 지원이 계속되고 있다는 것이다. 우리은행, 신한은행, 국민은행, KEB하나은행, 농협은행, 기업은행 등 주요 은행들은 피해 기업에 대한 대출 만기상환 연장, 금리인하, 추가 지원 등을 확정했거나 검토하고 있다.
당장 추가 지원을 받더라도 피해 규모가 워낙 크기 때문에 이 손실을 회복하기란 쉽지 않은 상황이다. 특히 다수 기업은 개성에만 공장을 두고 영업을 했기 때문에 공장 등 기반시설을 다시 구축해야 한다.
그렇다고 은행들도 지원을 곧바로 중단하기가 쉽지 않다.
금융당국이 금융 지원을 압박하고 있기 때문이다. 금융감독원은 개성공단 전면 가동 중단이 발표된 직후 은행·보험사 등에 입주기업 및 협력업체에 대한 무분별한 대출금 회수와 금리인상 등을 자제하라고 요청했다.
게다가 피해가 발생한 기업들에 여신을 회수하면 은행 이미지에 타격을 받을 수 있다.
개성공단 지원이 ‘울며 겨자먹기’식이란 말이 나오는 것은 이런 이유에서다.
이에 대해 금감원 관계자는 “정부의 구체적인 지원책이 마련될 때까지 대출 회수 등의 판단을 유보해 달라고 강제성 없는 요청을 한 것”이라며 “입주기업의 피해가 은행의 건전성 악화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판단해 이를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