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정이 나선 인천공항 안전대책

입력 2016-02-12 11:4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간담회 갖고 방역 등 논의… 인사 실패가 원인 지적도

당정은 최근 안전상의 문제점을 노출해 우려를 사고 있는 인천국제공항을 찾아 대책을 논의했다. 지카 바이러스의 국내 유입 가능성이 높아지고 북한의 도발, 국제적 테러 위협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수하물 처리 지연, 외국인 밀입국 사건 등이 연이어 터지며 시스템에 허점을 드러냈기 때문이다.

새누리당과 정부는 12일 인천공항 세관에서 ‘공항 출입국 및 안전 강화를 위한 현장 당정간담회’를 열고 개선책을 논의했다. 김무성 대표가 주재한 이 자리에는 김정훈 정책위의장, 이한성 법제사법 정조위원장, 김태원 국토교통 정조위원장, 이창재 법무부 차관, 최정호 국토부 제2차관 등이 참석했다.

이날 당정 협의는 10년 연속 세계 서비스평가 1위에 오르며, 국가적 자랑으로 꼽혔던 인천공항이 대형 사고를 터뜨리는 등 문제점을 보이는 상황을 점검하고 대책을 내놓기 위해 마련됐다.

김 정책위의장은 전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수화물 지연 사태, 밀입국자 문제 등 총체적 난맥상을 드러냈으며, 최근 지카 바이러스 등 방역과 테러방지 등 공항안전 점검에도 예의주시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김무성 대표 등 새누리당 관계자는 정부와 공항 임원들로부터 안건 보고를 받고 의견을 교환한 이후 공항 검역소 현장을 시찰했다.

인천공항은 지난달 수하물 대란으로 160여편의 항공기 운항이 지연되는가 하면, 중국인 환승객 2명과 베트남 남성의 밀입국을 허용하는 등 체계상 문제점을 드러냈다. 세계 보건안전을 위협하는 지카 바이러스의 국내 유입 가능성이 제기되고 테러 위협도 높아지는 상황에서 이 같은 사건들을 향한 국민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견실한 성장을 이어오던 인천공항이 연이어 문제가 발생한 것은 정부의 인사 실패가 가장 큰 원인이라는 지적이다. 실제로 박근혜 정부에서 공항의 수장직을 맡은 정창수, 박완수 전 사장은 모두 지방선거에 패배한 이후 임명된 정치권 인사들로 ‘전문성이 결여된 낙하산’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현재 정 전 사장은 관광공사 사장으로 재임하고 있고, 박 전 사장은 20대 총선 출마를 위해 지난해 12월 사퇴했다. 인천공항의 수장 자리는 그동안 공석 상태에서 홍역을 치르고 나서야 부랴부랴 정일영 사장으로 채워졌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