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영구 "노동개혁과 성과주의 민간 금융사가 먼저 도입해야"

입력 2016-02-04 15:4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하영구<사진> 금융산업사용자협의회 회장은 4일 "노동개혁과 성과주의는 민간 금융기업이 공공영역보다 먼저 도입해야 할 과제"라고 말했다.

하 회장은 이날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금융산업사용자협회의 회원사 대표자 회의 모두발언을 통해 "금융산업의 수익성이 악화하고 생존이 위협받는 환경에서 과거의 시스템을 개혁하지 않고 현실에 안주하는 건 외환위기의 교훈을 잊어버린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은행권은 예대마진 축소 등으로 자산 수익률이 0.4%, 자본 수익률은 4%대에 불과하다. 은행의 시가총액도 순자산가치의 40% 수준이다.

반면 이익경비율((CIR·영업이익 대비 판매관리비)은 지속적으로 상승해 2010년 40% 초반에서 작년 55%로 올랐다. 인건비 비중도 같은 기간 55%에서 62%로 상승했다.

하 회장은 "현행 호봉제 중심의 연공형 임금체계는 은행의 수익과 무관하게 인건비가 지속적으로 증가해 고정비화 되기 때문에 수익성 악화를 가중시킨다"고 지적했다.

이어 "시장의 수요공급과는 무관하게 기존 고임금 호봉체계에 따라 신입직원 초임이 결정돼 청년정규직 채용 회피와 중장년 근로자 상시퇴출 등의 부작용을 초래하고 인력의 고령화를 가속화 시키고 있다"고 곁들였다.

또 "임금이 개인의 능력과 성과를 제대로 반영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이는 능력개발과 성과달성 의욕을 저하시키고 조직 내 무사안일, 무임승차자 등의 문제를 야기한다"고 말했다.

특히 "올해부터 새로운 보상체계와 고용 체계로 무장된 인터넷 전문은행이나 핀테크 산업의 본격적 출범으로 은행권에 더 많은 큰 어려움이 예상돼 과거의 체계로 경쟁하기는 어렵다"고 강조했다.

하 회장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려면 "무엇보다 채용에서 퇴직까지 직무능력 중심의 채용, 공정한 평가에 따른 보상, 적재적소 배치 등 공정한 인사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직무와 성과 중심의 성과주의 문화가 정착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회원사 대표들은 성과주의 확산을 포함한 노사 현안사항과 올해 산별 임단협 교섭방향 등에 대해 논의한다.

금융산업사용자협의회는 17개 은행을 포함한 34개 금융기관을 회원사로 둔 사용자단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