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대통령 대국민담화] “전술핵 주장 국제사회 약속 깨… 사드배치 국익·안보따라 검토”

입력 2016-01-13 11:5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사진=연합뉴스)
박근혜 대통령은 13일 새누리당 일각에서 제기되는 ‘전술핵 보유론’에 대해 “그동안 주장해온 국제사회 약속이 있기 때문에 약속을 깨는 것이 된다”고 말해 부정적인 입장을 내비쳤다.

박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취임 후 다섯 번째 대국민담화 및 기자회견 직후 기자들과 질의 응답을 통해 “그런 주장(전술핵 보유)에 대해서 충분히 이해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박 대통령은 북한의 4차 핵실험을 정부가 모르고 있었다는 것과 관련해 “그동안에도 한미 정보당국에서는 수뇌부의 결심만 있다면 언제든 핵실험 할 수 있다고 평가하고 있었다”면서 “다만 구체적인 시기예측은 이번에 못했다. 지난 3차 핵실험과 달리 특이동향 없이 핵실험 해서 임박 징후 포착할 수 없었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북한이 어떻게 할지 모르니까 도발 징후를 놓치지 않도록 ‘대북정보수집능력’ 구체적으로 말할 수는 없지만, 그것을 강화해서 놓치지 않도록 할 생각”이라고 강조했다.

또 미국이 사전에 북한의 핵실험 정보를 가지고 있었다는 보도에 대해 “미국이 그걸 몰랐다는 것 그건 확실하다고 말씀드릴 수 있다”고 부정했다.

박 대통령은 “한미 상호조약에 따라 미국의 핵우산을 제공받고 있고 2013년 10월부터는 한미 맞춤형 억제전략에 따라 한미가 여기에 공동대응하고 있기 때문에 한반도에 꼭 핵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핵보유론에 부정적 입장을 재차 강조했다.

이어 “주한미군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문제는 북핵 미사일 위협을 감안해가면서 우리 안보와 국익에 따라 검토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박 대통령은 북한 핵실험에 대한 제재조치와 관련, “유엔 안보리 차원에서 대북 결의안 초안을 마련하고 있는데 긴밀하게 조율하고 상의했다”고 밝혔다. 또 “중국과도 긴밀히 협의 중이다. 금융 무역 새로운 다양한 조치들을 포함시켜서 강력하고, 포괄적인 여태 북한 변화시키지 못했는데 이번엔 아프게 변할 수밖에 할 수 없다면 그런 목적을 갖고 (조치를) 마련하고 있다”고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