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동장 속 지지부진 수익률, 코스닥 레버리지 ETF로 ‘뚫자’

입력 2015-12-22 17:3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변동성 장세에서 지지부진한 수익률을 타파할 대안으로 레버리지 상품이 주목받고 있다. 특히

코스닥 150 레버리지 상장지수펀드(ETF) 3종이 상장과 동시에 뜨거운 관심을 받으며 전체 운용 규모 1000억원원을 훌쩍 넘겼다.

3개 상품이 거래된 지 5거래일이 채 지나지 않았지만 전체 운용 규모는 1000억원을 훌쩍 넘어섰다.

22일 한국펀드평가 펀드스퀘어에 따르면 현재 코스닥150 지수 일간 수익률의 2배를 추적하는 레버리지 ETF는 ‘한국투자KINDEX코스닥150레버리지증권ETF(주식-파생)’, ‘미래에셋TIGER코스닥150레버리지증권ETF(주식-파생)’, ‘삼성KODEX코스닥150레버리지증권ETF(주식-파생)’ 3개다.

이들 상품은 모두 지난 17일 상장됐다. 운용규모는 삼성운용 ETF가 963억원으로 가장 크다. 미래에셋운용 130억원, 한국투신운용 87억원 순이다. 세 상품 모두 상장 후 3거래일만인 전일까지 7~8% 대 수익률을 기록하며 같은 기간 코스닥150 지수 수익률(3.84%)을 크게 앞질렀다. 그리고 이날 코스닥 지수가 하락하면서 이들 상품의 거래량은 전날보다 더욱 크게 늘었다. 투자자들이 단기투자 형태로 차익을 실현한 것이다.

실제로 이미 상장돼 거래되고 있는 레버리지 상품도 다른 ETF에 비해 단기 자금이동이 큰 편이다. ‘삼성KODEX레버리지증권ETF(주식-파생)’은 지난 3개월간 7404억원의 자금이 빠져나갔지만 최근 1개월 동안에만 3753억원이 유입되는 모습을 보였다.

자산운용업계 관계자는 “레버리지 ETF는 한 달 미만의 단기 투자에 적합하다”며 “특히 미국이 기준금리를 인상하면서 당분간은 변동성 장세가 이어질 것이기 때문에 이를 적절히 활용하면 박스권 장세에서도 쏠쏠한 차익을 남길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