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구조조정 본격화에 은행 건전성 악화될까…‘우려’

입력 2015-12-20 10:2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정부가 본격적으로 한계기업 정리에 나서면서 은행의 건전성 악화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20일 금융당국과 한국은행 통계 등을 종합하면 조선 등 경기민감업종을 중심으로 기업의 재무상태가 급격히 악화되고 있다.

한국은행의 2014년 기업경영분석 자료에 따르면 이자보상비율(영업이익/이자비용)은 2012년 260.0%에서 2013년 283.9%, 2014년 284.5%로 상승세를 보였다.

이자보상비율은 기업이 벌어들이는 이익으로 금융비용을 부담하는 정도다. 기업 전체적으로는 개선된 것으로 보이지만 이자보상비율 0% 미만인 기업의 비중은 같은 기간 25.6%에서 26.5%로 오히려 악화했다. 기업 간에도 빈익빈 부익부 현상을 보인 것이다. 특히 조선업, 석유화학업, 해운업 등 위험업종에서 양극화 현상이 두드러졌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내 은행권의 손실흡수능력(대손충당금/고정이하여신)은 2013년 120.5%, 2014년 124%에서 올해 9월 말 현재 133.1%로 오르는 등 개선됐다. 금융당국은 스트레스 테스트 결과에 대해서도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급의 충격이 온다 하더라도 은행권이 전반적으로 적정한 자본수준과 유동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긍정적인 평가를 내놨다.

그러나 금리인상기에 접어들면서 예상치 못한 기업부실이 드러날 수 있고 은행권 수익성이 좀처럼 개선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된다.

금융위기 이후인 2010∼2014년 국내 은행산업의 연평균 총자산순이익률(ROA)은 0.44%로, 위기 이전인 2001∼2007년의 0.82%와 비교해 반토막으로 줄었다.

예대마진 의존도가 높은 수익구조에서 저금리로 순이자마진이 줄었지만 수수료 수입 기타 수입은 좀처럼 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박일문 한국신용평가 연구원은 보고서를 통해 “문제는 1차 위기에 대한 대응력이 아니라 지속적인 안정성을 위한 은행의 본원적 대응능력”이라며 “이것이 현저히 악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