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 의장 “문을 걸어잠그더라도 결단을 내렸으면”

입력 2015-12-15 14:0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정의화 국회의장은 내년 총선의 예비후보 등록이 시작된 15일까지도 여야가 선거구 획정안을 정하지 못한 것에 대해 “입법 비상사태까지 갈 수 있다. 국회의장으로서 뭔가 특단의 조치를 안 할 수 없다”고 밝혔다.

정 의장은 이날 국회 집무실에서 여야 지도부와 선거구 획정안을 논의하기 위한 회동을 갖고 이 같이 말하며 “여야가 합의해서 오늘 (의장실)문을 걸어 잠그고라도 교황 식으로라도 결단을 내렸으면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는 “우리당의 여러 원칙들을 내려놓으면서 (합의를 위해) 노력했지만 새누리당이 처음 입장에서 조금도 안 굽혔다”며 “그것이 선거구획정이 안 되는 이유이다. 그 부분에서 중재력을 발휘하셔서 되게끔 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그러자 새누리당 원유철 원내대표는 문 대표의 말에 반박하며 “정치 발전 위한 선거제도 관련해선 언제든지 열린 자세로 논의할 준비가 돼 있다”면서 “헌재에서 인구편차를 2대1로 줄이라는 결정했고 국회에서 인구편차 줄이는 것을 중심으로 선거구 획정안을 논의하기 때문에 선거규칙과 선거룰을 정하는 데 있어서 양보의 문제가 아니라 공정성의 문제다”고 했다.

문 대표가 재차 “선거구 논의 자체가 기존 제도가 공정하지 않아서 되는 것이니까 공정의 의미를 다시 한 번 생각해봐야 한다”고 반박하자 원 원내대표도 “인구 편차에 집중해서 하자는 말씀을 드린 것”이라고 받아쳤다.

아울러 새정치민주연합은 이종걸 원내대표는 “선거정수, 선거구획 모두 다 제도에 관한 것”이라며 “합의할 수 있는 다양한 것을 하나하나 양보해 가는데 그것은 새누리당은 지금까지 과반수 의석을 꼭 달성해야 한다는 단일의 목표를 내세우고 있다. 너무 부당한 목표이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서로 공정한 협상이 이뤄져야 한다”고 했다.

또 이 원내대표는 국회의장 직권상정 전제조건으로 논란이 됐던 ‘입법비상사태’와 관련, “정말 입법비상사태가 무슨 말인가. 전 세계에 그런 말이 어디 있는가”라고 비판하면서도 “입법비상사태에 전혀 동의하지 않지만 그 비슷한 상태를 초래하게 됐다는 데에는 저희도 공동의 책임을 져야할 것”이라고 했다.

이 같은 지적에 정 의장은 “입법비상사태는 마지노선인 12월31일까지도 만약에 (선거구)획정이 정해지지 않으면 비상사태에 준하는 그런 일이 일어날 수 있다는 걸 염려해서 그렇기 때문”이라며 “그런 일이 예견되기 때문에 가능한 올해 중으로 여야가 잘 합의를 봐달라는 취지”라고 해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