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CJ헬로비전 '빅딜'… 정부인가 속도내나?

입력 2015-11-13 08:0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정부가 SK텔레콤과 CJ헬로비전 인수합병(M&A) 인가를 위해 대책반 출범을 준비하는 등 만전을 기하고 있다. 국내 첫 방송과 통신 사업자 간 대형 M&A인 만큼 면밀하게 심사하겠다는 의지다.

1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미래창조과학부와 방송통신위원회는 조만간 SK텔레콤과 CJ헬로비전 M&A 인가 조사를 위한 대책반을 꾸릴 예정이다.

기업실사는 한 달 내에는 마무리될 것으로 보인다. 실사 이후에는 SK텔레콤의 지분 인수와 SK브로드밴드 합병 건에 대한 미래창조과학부와 방송통신위원회에 허가변경 신청을 해야 한다. 또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는 기업결함 심사를 받고, 승인을 받아야 최종 인가 작업이 마무리된다.

내달 초 합병 신청이 이뤄지면, 2개월에서 3개월까지 인가심사위원회의 논의가 이어진다.

SK텔레콤 관계자는 “정부 인가를 위해 꼼꼼한 실사 작업을 펼치고 있다”며 “인가심사위원회가 논의하는 동안 부족한 부분에 대해 충분히 협의해 수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최성준 방송통신위원장도 SK텔레콤과 CJ헬로비전 M&A 허가에 대해 면밀하게 조사하고 살피겠다고 말했다.

최 위원장은 “양 사의 인수합병에 대한 사전동의 절차가 있기 때문에 이와 관련된 여러 가지 기초조사를 시작했다”며 “무선시장 영향력이 방송시장으로 오는 것에 대해 이용자보호와 경쟁촉진이라는 두 가지 원칙을 반영해 살펴볼 것”이라고 말했다.

업계에선 방송과 통신사업 경계를 허무는 첫 M&A 사례라는 점에서 정부 당국의 면밀한 검토가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SK텔레콤의 CJ헬로비전 인수합병과 관련한 경쟁사들의 반발은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 전날 KT는 소규모 기자설명회를 열고 공정성 경쟁 훼손과 독점적 시장 지배력 등을 내세워 SK텔레콤의 CJ헬로비전 인수합병에 대해 반대했다.

이날 설명회에선 박헌용 KT CR 협력실장(전무)은 “합병이 성사될 경우 유료방송시장서 플랫폼 간 수직통합에 따른 독점화가 이뤄지고 이동통신시장의 지배력이 방송통신융합시장으로 전이 될 것”이라며 “독점적 시장 지배력을 행사하게 돼 공정성 경쟁을 훼손하게 된다”고 주장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