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채·주거비 상승 등 악재 산적
한국은행이 25일 발표한 ‘9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103으로 전월 대비 1포인트 상승했다. 소비자심리지수가 100보다 높을 경우 경제 상황에 대한 소비자들의 기대심리가 과거 평균(2003~2014년)보다 낙관적임을, 100보다 낮을 경우 비관적임을 의미한다.
앞서 소비자심리지수는 메르스 사태의 여파로 지난 6월 올 들어 가장 낮은 수준(99)을 기록했으나, 7월 기준점(100)을 회복한 후 8월(102) 본격적으로 상승세를 보였다.
특히 추석 연휴를 3주 앞둔 이달 7일부터 지난 20일까지 14일 동안 백화점 매출은 전년 같은 기간(8월 18~31일)보다 16.3% 증가했다. 대형마트 매출액도 1.1% 증가했다. 추석 성수품과 선물용품 특수 덕분에 농축산물 매장, 슈퍼마켓, 온라인쇼핑, 편의점 등의 매출도 두 자릿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24일 서울 세종로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14차 재정전략협의회에서 “추경 등 재정보강, 개소세 인하 등 소비활성화 대책 등의 정책적 노력에 힘입어 최근 경기는 내수를 중심으로 다시 정상궤도로 올라서는 모습”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추석 직후인 10월 1일부터 14일까지 2주간 2만7000여 개 업체가 참여하는 ‘코리아 블랙 프라이데이’ 행사로 내수 훈풍을 이어간다는 복안이다.
문제는 향후 전망이 밝지 않다는 데 있다. 내수 부진이 장기화한 데는 가계부채, 주택시장 침체 등으로 가계소득이 제자리걸음을 하는 등 뿌리 깊은 구조적 문제가 자리 잡고 있는 만큼 1회성 대책으로는 역부족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된 지적이다.
가계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지난해 말 137.6%로 집계돼 2010년 말(127.7%)에 비해 9.9%포인트 상승했다. 전세가격이 매매가격을 웃도는 역전 현상까지 나타날 정도로 전셋값이 치솟으면서 보증금을 낀 월세인 ‘반전세’가 임대시장의 주류로 자리 잡아 주거비 부담도 커지고 있다.
오정근 건국대 특임교수는 “단편적 대책들로는 반짝 효과에 그칠 수 있다. 한국 경제의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고 성장동력을 확충하기 위해서는 파격적이고 장기적 내수 활성화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