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형환 차관 "中 성장세 둔화되면 위안화 추가 절하 예상"

입력 2015-09-21 15:1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주형환 기획재정부 차관이 21일 서울시 중구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한국금융연구원·아시아금융학회 정책세미나에 참석하여, 축사를 하고 있다. (사진=기획재정부 )
주형환 기획재정부 제1차관은 "중국의 경우 주식시장이 여전히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경제구조 변화에 따라 중장기적으로 성장세가 둔화될 것으로 보는 전망이 우세하다"며 "이 경우 위안화의 추가 절하가 예상되고 있다"고 말했다.

주 차관은 21일 한국금융연구원과 아시아금융학회가 주최한 정책세미나에 참석해 "미국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이 다가오는 상황에서 6월 이후 중국 증시가 급락세를 보이면서 국제금융시장의 위험회피 성향도 크게 강화됐다"며 이 같이 밝혔다.

주 차관은 "8월에 있었던 중국의 위안화 절하 조치는 중국 경기둔화에 대한 우려를 확산시켰다" 며 "이에 따라 대다수 국가들의 주가는 하락하고, 특히 일부 신흥국의 경우 환율절하, 자본유출 등으로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미국의 금리인상은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결정에 따라 개시시점이나 인상속도가 조절될 수 있지만, 중국발 리스크는 정책적 대응능력이 상대적으로 제한될 수밖에 없다"며 "구체적인 수치와 자료에 입각해 개별 리스크가 미치는 영향이 각 경로별로 체계적으로 분석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실제로 최근 우리 수출관련 데이터를 분석해보면 대(對) 중국 자본재 수출은 오히려 소폭 증가했다"며 "중국의 전체 수입 중 우리나라의 점유율도 2014년보다 2015년 상반기에 상승했는데, 이는 추정과는 상반되는 결과"라고 강조했다.

주 차관은 "위안화 절하에 따른 우리 기업의 수출경쟁력 약화를 우려하는 주장과 원화 절하에 따른 외국인자금 유출을 걱정하는 주장은 양립될 수 없다"며 "균형과 우선순위에 대한 논의로 이어지지 않는다면 이는 불필요한 시장불안만 야기할 수 있다"고 했다.

그는 "정부는 우리경제의 체질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며 "중국을 포함한 신흥경제의 성장과 구조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체계적인 전략도 조속히 구체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