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제약사의 ‘리베이트’ 망령

입력 2015-09-07 10:3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강인효 유통팀 기자

국내 제약업계가 다시 한 번 ‘불법 리베이트 관행’이라는 오명을 뒤집어썼다. 검찰이 지난해 수사에 착수했던 K대학교 지역병원 리베이트 수사 결과가 최근 발표되면서다.

이 리베이트 사건에는 국내 제약사뿐만 아니라 윤리경영을 부르짖던 다국적 제약사까지 연루된 것으로 드러나면서 충격을 더했다. 리베이트 수법까지 점점 교묘해지고 은밀해지면서 리베이트 척결이라는 정부와 협회의 자정 노력을 헌신짝처럼 버린 셈이 됐다.

정부는 이와 관련, “쌍벌제 및 리베이트 투아웃제가 시행되면서 리베이트에 대한 처벌이 강화됐음에도, 리베이트 제공 및 수수행위가 여전히 근절되지 않고 있다”며 “불법 리베이트 제공 관행이 근절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단속 활동을 펼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규제가 심해지면 심해질수록 이 규제와 법망을 피하기 위한 리베이트 수법 또한 점차 진화해 제약업계 내 리베이트 관행 척결은 아직도 요원한 상태다. 무엇보다 안타까운 것은 이번 리베이트 수사 결과가 발표되면서 한국제약협회나 다국적의약산업협회를 중심으로 하는 많은 국내외 제약사들의 윤리경영 노력 자체가 모두 공염불이 됐다는 점이다. 리베이트에 대한 인식 전환을 위한 노력을 스스로 해왔음에도, 역시 고쳐지지 못하고 말았다.

그동안 제약업계는 리베이트라는 주홍글씨를 지우기 위해 투명경영·윤리경영 등을 선언하면서 부단히 애를 써왔다. 그러나 여전히 리베이트에 발목이 잡혀 있다.

정부의 무서운 회초리도, 업계 내부에서의 견제를 통한 상호 감시조차도 약발이 먹히지 않는다면 더 이상 무슨 노력을 얼마만큼 해야 하는가. 제약사의 리베이트 망령이 사라지지 않는 건 아닐까 하는 우려를 씻을 수 없는 지경까지 온 것 같아 씁쓸하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