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해수부-산업부, 농수산식품 수출 FTA 활용도 높인다

입력 2015-08-26 12: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정부가 자유무역협정(FTA) 활용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농수산식품업계의 수출 확대 지원에 나섰다.

농림축산식품부·ㆍ해양수산부ㆍ산업통상자원부는 26일 부처 합동으로 'FTA 지원을 위한 농수산식품 수출업계 간담회'를 열어 농수산식품 수출산업화 지원 계획을 발표했다.

우선 농식품부는 농식품 분야의 낮은 FTA 활용도를 끌어올리고자 농식품 수출업체를 대상으로 품목ㆍ국가별 정보 제공을 확대한다.

지난 3월 도입한 FTA 원산지 증빙절차 간소화에 대한 내용을 지속 홍보하고, 9월중 무역협회와 협업해 품목별(김치, 유자차, 홍삼 등) 원산지 인증 방법, 절차 등을 담은 FTA 활용 매뉴얼을 제작해 배포할 계획이다.

또 연내에 FTA 체결국 중 4개국(베트남, 싱가폴, 호주, 캐나다)에 대해 FTA 관련 정책ㆍ협정세율과 더불어 유통ㆍ소비동향, 경쟁국 농식품 동향 등을 심층 조사해 업계에 제공할 예정이다.

미국, 칠레, 호주, 캐나다 등 각국과 FTA가 체결됐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농수산식품의 FTA 수출활용도는 30% 수준에 불과한 실정이다.

지난해 우리나라 농식품의 FTA 수출 활용도는 24.4%, 수산식품은 34.8% 수준으로 제조업(80%)을 크게 밑돌았다.

영세업체가 대부분인 농수산식품업계 특성상 원산지 규정에 대한 이해 부족과 전문인력 수급난 등이 겹쳐 FTA 혜택을 누리지 못하는 것으로 정부는 분석했다.

해수부는 수산식품의 FTA 활용률이 미국(63.7%), EU(78.2%)와 비교해 크게 낮은 ASEAN 지역(0.7%)의 수출 제고를 위해 집중하는 동시에 주요 시장으로 부상할 중국으로의 수출확대를 위해 원산지 증빙 절차 간소화 등 제도개선을 추진한다.

산업부는 정부의 다양한 FTA 지원 정책과 농수산 특화 원산지관리시스템(FTA-agri) 등을 업계가 잘 활용할 수 있도록 뒷받침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