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민ㆍ관 협력 취약계층 실내 주거 환경 개선 추진

입력 2015-08-20 12: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환경부는 ‘사회취약계층 실내환경 진단ㆍ개선사업’을 위해 사회공헌 기업 11곳과 협약식을 개최한다고 20일 밝혔다.

이 사업은 저소득층, 결손가정, 환경성 질환을 앓고 있는 어린이 거주가정 등 생활환경이 열악한 사회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환경성 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유해인자를 진단하고 개선이 필요한 가구에게 친환경 벽지·장판 교체, 곰팡이 제거 등 무료로 실내 환경을 개선해주는 것이다.

21일 서울 한국언론재단에서 열리는 협약식에는 CJ라이온, LG생활건강, LG하우시스, 대흥FSC복합창, 삼화페인트공업, 애경산업, 에덴바이오벽지, 케이씨씨, 한경홀딩스, 한화L&C, 현대리바트 등 11곳의 기업이 참여한다.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올해 5월부터 지자체의 추천을 받은 총 2000가구를 대상으로 환경성질환 유발인자를 진단하고 있다.

이 중 700가구를 선정해 실내환경 개선을 지원하며 환경보건센터와 연계해 아토피와 천식 등 환경성질환을 앓고 있는 어린이 200명에 대한 무료 진료도 함께 제공한다.

특히 저소득층, 조손ㆍ다문화가정, 아토피ㆍ천식 어린이 거주가구 등을 대상으로 ‘환경보건 컨설턴트’가 동행해 접수부터 진료까지 도움을 주는 ‘진료 도우미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환경부는 이번 협약 체결에 따라 9월부터 실내환경 개선이 요구되는 가구에 대해 사회공헌기업으로부터 후원받은 물품(친환경 벽지, 장판, 페인트, 창호, 가구)을 이용해 생활환경 개선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곰팡이가 자주 발생하는 50가구를 선정해 벽면ㆍ천장을 사회공헌기업으로부터 후원받은 단열재로 시공하는 등 환경성질환 유발인자의 발생을 근원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다각적인 활동을 펼칠 예정이다.

서흥원 환경부 환경보건정책과 과장은 “이번 협약식을 계기로 실내환경 진단ㆍ개선사업에 민간의 참여와 지원이 활성화되기를 희망한다”며 “앞으로 정부와 기업이 힘을 합쳐 사회취약계층에 도움이 되는 사업으로 확대ㆍ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