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덕헌 시장국장
핀테크(fintech)는 금융(finance)과 IT기술(technology)의 결합을 의미한다. 금융거래에 IT 기술을 접목해 금융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새로운 비즈니스를 창출하려는 것이다. 또한 ICT(정보통신기술) 산업 발전과 중소 IT 기업 육성이라는 정책적 목적도 갖고 있다.
국내 핀테크 바람은 올해부터 본격화했지만 해외에선 이미 수년 전부터 시작됐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규제 강화와 수익 감소로 어려움을 겪자 미국과 유럽의 글로벌 금융회사들은 IT 업계와 손 잡고 새로운 비즈니스 창출을 모색했다.
페이팔(지급결제), 렌팅클럽(금융플랫폼), 비주얼DNA(빅데이터) 등이 핀테크로 급성장한 기업이다.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P2P대출을 중개하는 온덱(OnDeck)은 지난해 말 기업가치를 1조6000억원으로 평가받고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했다.
이처럼 해외 핀테크 산업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2014년 한해 동안 핀테크 기업에 투자된 자금만 34억 달러, 우리 돈으로 4조원에 달한다. 특히 핀테크 스타트업에 투자된 자금만 1년 새 3배 이상 늘었다고 한다. 2018년에는 핀테크 투자금이 6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 핀테크 시장 환경은 척박하기만 하다. 정부가 뒤늦게 핀테크 육성을 외치고 있지만, 시장 규제와 금융권의 보신주의, 업권 간의 이해 상충으로 활성화되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해 보인다.
8월 말 이투데이가 주최하는 대한민국 금융 대전 행사를 진행하면서 많은 핀테크 기업 관계자를 만날 기회가 있었다. 다양한 형태의 지급결제 솔루션 회사, 홍채·지문·정맥 등 생체를 이용해 본인 인증기술을 개발한 생체인증 기업들, 빅데이터를 이용해 신용평가를 하는 기업들까지 다수의 핀테크 기업 관계자를 만났다.
처음에는 IT 기술에 문외한이었던 만큼 신기했다. 역시 IT 강국이구나 하는 자긍심도 느껴졌다. 특히 과거 영화에서나 볼 수 있었던 생체인증 기술이 실제 금융거래에 적용된다는 점에 놀라웠다.
그러나 국내 핀테크 산업의 실상을 알게 되면서 기대보다 걱정이 앞선다. 핀테크 기업의 기술 개발 열정과 프라이드는 대단하지만, 이들 기업이 성장해 나아가기에는 주변 환경이 너무 열악한 실정이다.
가장 근본적인 문제는 업종 간 주도권 갈등이다. 이 문제는 국내만의 현상은 아니지만 핀테크 활성화의 최대 걸림돌이 되고 있다. 금융과 IT 업계가 상호 오픈 마인드가 되어야 성과물을 만들어 낼 수 있지만, 주도권 다툼을 하다 보니 발전이 더딜 수밖에 없다. 특히 국내 금융회사는 보수적 성향이 강하다 보니 핀테크에 대해 부정적 시각이 강한 게 사실이다.
규제 장벽도 핀테크 활성화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 핀테크는 이업종 간 결합을 통해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는 만큼 기존 시장의 규제가 풀어져야 가능하다. 지난달 국회에서 클라우딩펀딩법은 통과 됐지만, P2P대출은 발목이 잡혔다. P2P대출에 대한 유용성을 알면서도 개인간 직접 대출에 따른 문제점을 우려했기 때문이다.
핀테크 기업에 대한 허술한 지원 프로그램도 활성화를 기대하기 어렵게 한다. 기존 대형 IT기업, 포털, 통신사 등이 핀테크 사업에 뛰어들었지만, 대부분의 핀테크 기업들은 영세하다. 제2의 벤처 대박을 꿈꾸며 쪽잠을 자고 밤낮없이 기술 개발에 몰두하고 있지만, 이들이 성장하기에는 현실의 벽이 너무 높다.
온라인·모바일시대에 핀테크는 선택이 아닌 살아남기 위한 필수 조건이다. 금융회사는 금융당국의 눈을 의식해 의미 없는 업무 제휴로 할 일 다했다고 생색내기보다 새로운 먹거리 창출을 위해 핀테크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정부도 금융권과 IT기업이 잘 융합할 수 있도록 중재자 역할과 영세 핀테크 기업에 대한 체계적인 금융지원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