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다섯번째로 꺼내든 우리은행 민영화 카드의 핵심은 과점주주 매각 방식이다. 현재로선 경영권 매각이 어려운 만큼 4~10%씩 지분을 쪼개 팔겠다는 것이다. 물론 여전히 경영권 지분매각 카드도 들고 있다.
그러나 상황은 녹록치 않다. 일단 주가가 문제다. 현재 우리은행 주가는 9000원 선에 머물러 있다. 공적자금 회수 목표주가(1만4500원)인 1만45000원과 비교하면 40% 가까이 차이가 난다. 경영권 프리미엄은 고사하고 자칫했다간 손해를 볼 수도 있다.
오랜 고민 끝에 과점주주 카드를 집어든 정부가 매각 일정을 확정짓지 못하고 '최대한 신속하게'라며 시간적 여유를 둔 것도 이 때문이다.
여러 주주가 의견 교환을 통해 경영 판단을 내리는 과점 주주 방식이 국내 금융사들의 지배구조에 적합한지도 미지수다. 경영 안정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일각에서는 우리은행 매각을 위해 꺼내는 고육지책이란 비판도 나오고 있다.
◇30~40% 과점주주 방식 병행…매각시점 미정 = 공적자금관리위원회는 21일 '제112차 회의'를 열고 이같은 내용을 담은 우리은행 민영화 추진방향을 심의·의결했다. 우선 정부는 30% 이상 지분을 묶어 파는 경영권 지분 매각방식 뿐 아니라 과점주주 매각방식을 병행키로 했다.
박상용 공자위 위원장은 "그동안 수요점검 결과 경영권지분 매각은 쉽지 않다는 것이 확인됐다"며 "과점주주가 되고자 하는 수요가 일부 존재해 이를 공론화시켜 더 많은 수요를 발굴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과점주주 매각 방식은 특정 기관에 경영권을 넘기지 않고 몇몇 주주에게 지분을 쪼개 파는 것이다. 높은 가격을 제시한 순으로 각자 희망하는 물량을 배분하는 '희망수량 경쟁 입찰 방식'으로 진행된다. 과점주주군을 형성하는 취지를 고려해 경영권 총 매각 물량은 경영권 행사 가능 규모인 30% 이상이 되도록 설정했다.
과점주주 매각 방식은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란 우리은행 매각 원칙과 충돌된다. 현재 우리은행 주가는 9000원 수준에 머물러 있다. 공적자금 회수 목표주가(1만4500원)인 1만45000원과 비교하면 40% 가까이 차이가 난다. 공적자금 원금 회수 주가(1만3500원)과도 크게 벌어져 있다.
이에 정부는 예보 지분의 30∼40%를 우선 매각하고 콜옵션 행사 대비분(2.97%)를 제외한 최대 18.07%의 잔여지분을 추후 매각할 계획이다. 매각에 속도를 내면서 주가를 띄워 공적자금을 회수하겠다는 구상이다.
◇투자수요 불확실…지배구조 안정성 위협할 수도 = 정부는 투자수요를 일부 확인했다는 입장이지만 매각에 나섰을 때 그 수요자들이 실제 입찰에 나설 가능성은 반반이다. '희망수량 경쟁입찰' 방식이 걸림돌이다.
'희망수량 경쟁입찰'은 높은 가격을 제시한 투자자 순으로 희망하는 물량을 배분받는다. 가격을 높게 써낸 투자자는 비싸게, 낮게 써낸 투자자는 싸게 사는 것이다. 투자자로선 부담이 될 수 밖에 없다.
박 위원장은 "국가 계약법에서 허용하는 매각방안과 우리가 매각을 하기 위해 방안하고는 차이가 있다"며 "앞으로 어떻게 풀어나갈지 고민 중이다"라고 전했다.
과점주주 방식이 지배구조 안정성을 저해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4% 지분을 지닌 주주 4~5곳이 모여 컨소시엄을 구성하면 경영권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론스타의 상흔이 '현재 진행형'인 상황에서 중국 등 해외 PEF들의 공습이 우려되는 부분이다.
박 위원장은 "매각 후에도 안정적인 경영이 이뤄질 수 있도록 매각 방안을 설계해야 한다"며 "투자 수요를 많이 확보해야 하지만 좋은 투자자들을 많이 확보해 은행을 안정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