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피크제 도입, 그룹 규모 클수록 도입 비율도 높아”

입력 2015-07-01 21:1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고용노동부, 자산총액 기준 상위 30대 그룹 주요 계열사 조사 결과 발표

(사진=삼성전자)
임금피크제 도입은 그룹 규모가 클수록 도입 비율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자산총액 기준 1∼15위 그룹인 삼성ㆍ현대차ㆍSKㆍLGㆍ롯데ㆍ포스코ㆍ현대중공업ㆍGSㆍ농협ㆍ한진ㆍ한화ㆍKTㆍ두산ㆍ신세계ㆍCJ 등은 계열사 275개 중 55%(151개)가 임금피크제를 도입했다.

반면 16∼30위 그룹인 LSㆍ대우조선해양ㆍ금호아시아나ㆍ동부ㆍ대림ㆍ부영ㆍ현대ㆍOCIㆍ한국수자원공사ㆍ한국도로공사ㆍ한국전력공사ㆍ한국철도공사ㆍ한국토지주택공사ㆍ한국가스공사ㆍ한국석유공사 등은 계열사 103개 중 26개가 임금피크제를 도입, 도입 비율은 25%에 그쳤다.

그룹별로 보면 삼성그룹은 전 계열사가 임금피크제를 도입하기로 지난해 노사가 합의, 오는 2017년까지 단계적으로 임금피크제를 적용할 방침이다. 또 LGㆍ롯데ㆍ포스코ㆍGS그룹은 주요 계열사가 이미 임금피크제를 시행하고 있다. 아직 도입하지 않은 일부 계열사도 올 하반기나 내년 이후 도입할 예정이다.

한편 고용노동부가 자산총액 기준 상위 30대 그룹 주요 계열사를 조사한 결과, 378개 기업 중 47%(177개)가 임금피크제를 도입해 이미 이를 시행하고 있다. 도입하지 않은 나머지 그룹 계열사도 내년 정년 60세 의무화를 맞아 임금피크제 도입을 검토 중인 것으로 조사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