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킨지, 한국 7대 가계부채 위험국으로 지정
국내외 기관들이 입모아 국내 가계부채 위험성을 경고하고 있다.
맥킨지의 연구기관인 맥킨지글로벌연구소(MGI)는 최근 ‘세계부채 보고서’를 통해 한국, 네덜란드, 캐나다, 스웨덴, 호주, 말레이시아, 태국 등 7개국을 가계부채 관련 취약국으로 분류했다.
이 보고서는 2007년부터 2014년 2분기까지 한국의 총부채 중 가계부채 비중은 12% 포인트 증가했다. 이는 47개국 중 12번째로 높은 것이다. 특히 한국은 2007년 이후 소득 대비 부채비율이 18% 포인트나 증가했고, 원리금상환부담률(2013년 기준)은 22%로 취약국 중 말레이시아, 호주, 네덜란드 다음으로 높았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지난 3일 ‘경제전망 보고서’를 통해 올해 한국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종전 3.8%에서 3.0%로 대폭 하향 조정했다. OECD의 이번 전망치는 한국개발연구원(KDI) 예상과 같고 한국은행(3.1%)보다는 낮은 수준이다.
OECD는 성장률 전망치를 하향 조정한 이유로 급증하는 가계부채와 낮은 임금상승률에 따른 민간소비 부진, 원화 강세, 수출실적 하락을 꼽았다
국내 연구기관들도 가계부채를 우려하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한국경제연구원은 22일 ‘국가 총부채의 변동에 따른 위험 요인 점검’이라는 보고서에서 “일반 정부부채 수준은 해외 주요국보다 높지 않지만 가계부채는 매우 높다”고 지적했다.
허원제 연구위원은 “정부, 기업과 달리 가계는 자금조달 방안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금리 인상에 따른 추가이자 비용을 온전히 부담해야 한다”며 “국내 부동산시장의 변화와 가계부채의 증가 양상을 볼 때 일본의 장기침체 과정을 답습할 가능성이 크다. 구조개혁을 통한 경기 활성화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권영선 노무라증권 이코노미스트는 최근 보고서에서 “이자만 내는 주택담보대출의 원금 상환이 2019년부터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가계부채 상환 능력이 2020년부터 급속히 악화할 가능성이 크다”고 경고했다.
임일섭 우리금융경영연구소 금융연구실장도 “안심전환대출 요건에 부합함에도 원금 분할상환 능력이 없어서 신청조차 못 한 계층의 상황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