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11일 기준금리를 1.50%로 내리면서 가계부채에 대한 경고음이 커졌다.
가계부채 증가는 잠재위험을 키우는 일이므로 전문가들은 상대적 취약계층 등을 중심으로 대책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1분기말 기준 금융권 전체의 가계신용(가계대출과 판매신용을 합한 금액) 잔액은 사상 최대인 1099조3000억원이다. 그간 가계대출 급증세에 비춰 이미 1100조원을 돌파한 게 확실시된다.
실제 한은의 ‘4월 중 예금취급기관 가계대출’ 통계를 보면 4월 말 현재 예금은행과 비은행 예금취급기관(저축은행ㆍ신용협동조합ㆍ새마을금고ㆍ상호금융 등)의 전체 가계대출 잔액은 765조2000억원으로 한 달 전보다 10조1000억원 증가했다. 한 달 새 10조원 넘게 늘어난 것은 처음이다.
대출종류별 증액분은 주택담보대출이 8조원으로 증가액 대부분을 차지했고 취급기관별로는 은행대출이 8조7000억원으로 증가액의 90%에 육박했다.
전국 주택 매매거래량은 지난달까지 3개월 연속으로 10만건을 넘었다.
5월에 10만9872건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40.5% 늘었다. 5월 거래량으로는 통계를 내기 시작한 2006년 이후 최대치다.
여기에 기준금리 인하로 가계 빚 증가세는 가팔라질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가계부채가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고 보고있다.
연소득 4∼5분위에 해당하는 고소득층의 빚이 가계부채의 70%를 차지하는데다, 금융자산은 물론 부동산 같은 실물자산까지 합치면 총자산이 총부채의 5배 이상이어서 담보력이 충분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증가 속도가 빠르고, 늘어나는 만큼 잠재 위험이 커진다는 점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지난해 8월 정부가 주택담보대출비율(LTV)과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를 완화한 이후 가계신용 증가액은 60조원을 넘어섰을 것으로 추정된다.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가시화 돼 가계빚 부담은 가중되고 있다.
미국이 금리 정상화 속도를 천천히 하더라도 우리나라도 기준금리 인상 흐름에 언젠가는 동참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문가들은 전망했다. 0.25%포인트만 올려도 이자 부담이 연간 2조원이 늘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여파까지 겹친 상황에서 가계의 소비 여력을 줄여 민간소비를 더욱 움츠러들게 할 수도 있다는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