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입자 늘어 내년 800만 전망… LTE 비중 8.7%에 그쳐 정부 ‘반값 LTE 요금제’ 등 정책적 지원 나서
통신시장의 한 축으로 자리 잡은 알뜰폰(MVNO) 시장이 앞으로 ‘800만 가입자 시대’를 열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저렴한 통신요금을 원하는 소비자들에게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데다, 지난해 10월 ‘단말기유통구조개선법(이하 단통법)’ 시행 이후 이동통신 시장 분위기가 급격히 냉각되자 반사이익을 보고 있다는 분석에 근거해서다.
이에 지난해 초 4% 수준이었던 알뜰폰 시장 점유율도 올초 8%에 육박했다. 정부는 올해 통신시장 요금경쟁을 촉발시키기 위해 알뜰폰 점유율을 10%까지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다. 또한 알뜰폰 시장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정책적 시도도 추진 중이다. 관련 업계에선 현시점에서 알뜰폰 시장을 확대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안은 롱텀에볼루션(LTE) 가입자 확보에 있다고 본다.
◇급성장한 알뜰폰 시장 “LTE 가입자 잡아라” = 알뜰폰 가입자 500만 돌파가 초읽기에 들어간 가운데, 현재와 같은 추세라면 내년께엔 최대 800만명까지 가입자가 증가할 것이라는 업계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이는 전체 이동통신 시장의 15%에 달하는 비중이다.
이 같은 전망의 중심엔 LTE 가입자가 있다. 미래창조과학부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전체 알뜰폰 가입자 가운데 LTE 가입자의 비중은 8.7%에 불과하다. 지난해 초에 비해 3.9%포인트 상승했지만, 전체 이동통신시장에서의 LTE 가입자 비중과 비교하면 현저히 적은 편이다. 전체 이동통신 가입자 가운데 LTE 가입자의 비중은 약 60%에 달한다. 전반적인 이동통신시장의 무게가 LTE로 쏠려 있는 상황인 만큼, 알뜰폰 시장 역시 LTE 수요를 미리 준비해야 한다는 논리다.
업계 관계자는 “전체 이동통신 시장에서 LTE 가입자의 10%만 가져올 수 있다면 알뜰폰 시장도 800만명까지 성장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며 “다만 저렴한 가격을 무기로 하는 알뜰폰인 만큼 아직까지 피처폰 비중이 많아 소비자들을 LTE로 유도할 수 있는 방안을 선보여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정부도 지난해 7월부터 ‘반값 알뜰폰 LTE 요금제’를 적극 육성한다고 나서면서, 다양한 LTE요금제가 출시됐다. 20여곳에 달하는 주요 알뜰폰 사업자들이 잇따라 다양한 LTE 요금제를 내놓으면서 소비자들의 선택의 폭도 넓어졌다는 평가다. LTE 알뜰폰 시장의 개화 조짐이 나타나고 있는 셈이다.
◇알뜰폰 사업자들 “망도매대가부터 인하해야” = 하지만 더욱 경쟁력 있는 LTE 알뜰폰 요금제가 나오려면 무엇보다 망도매대가 인하가 추진돼야 한다는 게 알뜰폰 사업자들의 목소리다. 망도매대가란 이동통신사들의 망을 빌려 쓰는 알뜰폰 사업자들이 대가를 지불하는 것을 말한다.
업계에 따르면 LTE의 경우 5만5000원 이하 요금제에선 알뜰폰과 이동통신사가 55대 45, 5만5000원 초과 요금제에선 45대 55의 비율로 수익을 나눈다. 이동통신사에 주는 망도매대가를 30% 미만까지 낮춰야 LTE 알뜰폰 시장이 활성화될 것이라는 주장이다. 망도매대가가 낮아지면 알뜰폰 사업자들도 경쟁력 있는 LTE 요금제를 출시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 가입자 확보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중소 알뜰폰 사업자들은 망도매대가로 인해 대부분 적자경영을 면치 못하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경쟁력 있는 요금제가 나올 수 없다는 게 업계의 주장이다.
정부와 국회에서도 이 같은 분위기를 인지하고 있다.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최민희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최근 미래부와 방통위 업무보고에서 “알뜰폰 사업자들의 누적 적자가 심각한 데 이는 망도매대가 때문”이라며 “망도매대가를 조정해 알뜰폰 시장의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같은 국회의 압박에 미래부도 망도매대가 인하를 위해 일부 이동통신사들과 논의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도 개화되려는 알뜰폰 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방안을 구상 중이다. 우선 내년 9월에 끝날 예정인 ‘도매제공 의무제’의 연장을 추진해 알뜰폰 시장을 더욱 키우겠다는 복안이다. 도매제공 의무제는 이동통신 사업자들이 의무적으로 알뜰폰 사업자들에게 망을 임대하도록 하는 제도다. 또한 우체국을 통한 오프라인 유통망 지원은 물론이고, 올 상반기 안에는 알뜰폰 허브 사이트를 구축해 온라인 유통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올해 9월 말로 예정돼 있는 전파 사용료 면제 시한도 풀어야 할 시급한 문제다. 가입자당 461원의 전파 사용료는 중소 알뜰폰 사업자들에게 부담스러운 금액인 만큼, 면제가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이에 미래부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지만, 예산을 담당하는 기획재정부와의 조율이 아직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전해지면서 업계의 속을 태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