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I, 특화제품으로 中 전기차 시장 공략

입력 2015-04-20 09:2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상하이 모터쇼 2015’ 참가… 소재부문도 참여, 친환경 자동차용 내외장재 소개

(사진제공=삼성SDI)
삼성SDI가 특화제품을 통해 세계 최대 전기차 시장으로 부상 중인 중국을 공략한다.

삼성SDI는 20일부터 중국 상하이에서 개막한 ‘오토 상하이 2015(상하이 모터쇼)’에 참가해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셀, 모듈, 팩, LVS 및 자동차 내외장재용 소재를 전시한다.

약 200㎡ 규모의 전시관을 마련한 삼성SDI는 먼저 37Ah, 94Ah 등 다양한 배터리 셀을 소개했다. 또 각형 배터리의 장점을 극대화한 스탠다드 모듈을 선보였다. 각형 배터리 셀은 에너지 용량이 늘어나도 파우치 배터리처럼 배터리의 크기가 커지지 않고 달라지지 않는다. 이에 차량을 새롭게 설계할 때도 기존 배터리의 디자인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제조사들은 전기자동차를 디자인할 때 배터리 탑재 공간을 표준화할 수 있다.

아울러 삼성SDI는 작고 강력한 배터리를 이용한 콤팩트 디자인 모듈과 팩을 선보였다. 배터리의 소형화는 연비가 핵심인 전기자동차에 필수적 요소다. 삼성SDI는 컴팩트 모듈과 팩을 통해 중국 자동차 제조사들이 고성능 전기차를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시했다.

내연기관 자동차의 납축전지를 대체하거나 보조해 연비를 높이는데 도움을 주는 LVS(저전압 배터리 시스템)도 함께 전시했다. 일반 내연기관 차량에 LVS를 장착하게 되면 ISG 등 연비향상시스템의 설치·운영이 가능하고 이산화탄소 배출도 크게 줄일 수 있다.

이번 모터쇼에는 케미칼사업부의 자동차 관련 소재부문도 함께 참가했다. 배터리 비즈니스를 위해 방문한 고객이 차량 내외장재용 소재까지 함께 관심 갖게 되는 등 이번 모터쇼에서도 다양한 시너지를 창출했다.

삼성SDI는 기존 IT제품, 가전제품용 소재분야에서 축적해온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소재 경쟁력을 자동차용으로도 확대해 다양한 친환경·고기능성 자동차용 내외장재를 선보였다.

무도장 메탈릭 소재가 대표적이다. 이 제품은 소재 자체에 금속성 외관을 구현, 별도의 도장 공정을 거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스크래치에 의한 색 벗겨짐이 적고 쉽게 변색되지 않는다. 이 제품은 글로벌 자동차 메이커인 포드의 2015년형 몬데오의 센터페시아에 적용됐다.

한편 지난해 6월 삼성SDI는 중국 안경환신그룹 및 시안고과그룹과 합작사 ‘삼성환신’을 설립, 8월 시안에 전기차 배터리 공장 건설에 돌입했다. 올해 본격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는 삼성SDI 시안법인은 중국 내 글로벌 배터리 기업 중 최초로 전기차용 배터리 셀 제품의 전공정 일괄생산체제를 갖추게 될 예정이다. 공장은 전기차 기준 올해 말까지 연간 4만대 이상에 배터리를 공급 할 수 있는 규모로 건설될 계획이다.

시안법인은 올해 10월부터 양산을 시작하며 중국에 위치한 글로벌 자동차 제조사들에 배터리를 납품한다. 라인 본격 가동 첫 해인 2016년부터 풀가동해야 할 물량을 이미 수주했다.

조남성 삼성SDI 사장은 “중국은 기존의 IT 분야를 능가하는, 세계 최대의 전기자동차 시장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충분하다”면서 “고객이 원하는 솔루션을 먼저 제시하는 적극적인 영업으로 중국 전기차 시장에서도 선도적인 입지를 쌓아 가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