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2012년 FTC 반독점법 조사 당시 백악관 상대 로비 의혹

입력 2015-03-25 14:3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구글 래리페이지·에릭슈미트 각각 FTC 임원·오바마 고문 접촉해 로비

구글이 지난 2012년 반(反)독점법 위반 혐의로 조사를 받을 때 연방거래위원회(FTC)는 물론 백악관을 상대로 로비를 펼쳤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최근 FTC가 구글의 독점방지법을 위반한 사실을 확인하고도 무혐의 결론을 내린 사실이 뒤늦게 알려진 만큼 구글의 로비 행태가 논란이 될 것으로 보인다. 구글은 아마존과 같은 경쟁 웹사이트의 정보를 무단으로 도용했고, 경쟁사가 이를 항의하면 구글 검색결과에서 삭제하겠다고 협박한 것으로 알려져 문제가 된 바 있다.

WSJ는 사정에 정통한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FTC가 구글을 조사할 당시 구글의 공동 창업자 래리 페이지는 FTC의 임원을 만났다고 전했다. 구글 에릭 슈미트 회장은 오바마 대통령의 고문인 피트 라우스와도 접촉했다.

WSJ가 입수한 방문록에 따르면 오바마 대통령이 취임한 이래 구글 임직원이 백악관을 방문한 횟수는 230회로 나타났다. 특히 구글의 로비스트 요한나 셸턴은 백악관을 총 60회 찾았다.

구글의 대변인 니키 크리스토프는 “인터넷을 개방하고, 제품을 생산하며, 경제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우리의 비즈니스를 정책입안자들에게 이해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뿐만 아니라 구글은 백악관 로비를 위해 막대한 자금력을 동원했다. 지난해 구글이 로비스트에 들인 돈은 1600만 달러(약 186억원)로, 미국 최대 케이블TV 사업자인 컴캐스트에 이어 두 번째로 많았다.

구글보다 시가총액이 큰 애플은 410만 달러, 마이크로소프트는 830만 달러 정도만 로비에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글의 로비가 효력을 발휘한 듯, FTC는 구글이 독점적 지위를 이용해 경쟁업체에 부당한 피해를 줬는지 조사한 것에 대해 최종적으로 무혐의 결론을 내렸다.

백악관은 이에 대해 “FTC는 독립적인 기관이고, (FTC가 내린) 결정을 존중한다”며 FTC 결정에 개입하지 않겠다는 자세를 내비쳤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