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증권 복합점포에 보험사 입점 추진

입력 2015-03-12 10:4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방카슈랑스 룰 완화 논의… 보장성 보험 판매 허용도

금융당국이 은행과 증권만 영업중인 복합점포에 보험사 입점을 논의하고 있다. 보험 판매에 걸림돌이 되는 '방카 25% 룰'까지 들여다볼 계획이다.

12일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지난해 7월 복합점포 활성화 방안의 일환으로 보험사 입점이 추진됐지만 설계사들 반발로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며“최근 임종룡 금융위원장 내정자의 '금융산업 경쟁력 강화' 발언을 계기로 보험사 입점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강하게 확산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같은 논의가 본격화돼 보험사 입점이 추진된다면 걸림돌이 되는 '방카슈랑스 25%룰'을 함께 들여다 볼 계획”이라며 “그러나 아직 구체적으로 정해진 것은 없다”고 덧붙였다.

복합점포란 은행과 증권 영업점을 한 공간에 둬 고객이 굳이 다른 영업점으로 이동하지 않고 관련 상품을 가입하거나 금융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점포를 말한다.

은행과 증권은 전 상품을 다루지만 보험은 은행 방카슈랑스를 통해 저축성 보험만 판매하고 있다.

보장성 보험 판매가 제한된 것은 설계사들 반발때문이다. 복합점포에서 보장성 보험까지 팔게되면 설계사들의 일자리가 축소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부분은 지난해 국감에서도 핵심 쟁점으로 다뤄졌다. 계열사 간 일감몰아주기를 막기 위해 10년전 도입된 ‘방카 룰’을 침해할 수 있다는 점도 주 이유다. 이에 지난해 7월 금융위도 규제개혁을 통해 보험사 입점을 추진했지만 설계사 반발과 방카룰 걸림돌들을 넘지 못하고 보류했다.

그러나 임종룡 금융위원장 내정자가 핵심 정책으로 ‘금융산업 경쟁력 강화’를 꼽으면서 이같은 논의가 다시 활기를 띠고 있다. 임 내정자가 농협금융회장 재직시절 복함점포 1호점을 개설하고 거듭 은행과 증권, 보험 등 자회사 간 시너지를 강조했다는 점이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방카 룰이 완화되면 은행들이 복합점포를 통해 계열 보험사 상품 판매에만 매달릴 것”이라며 “불완전 판매 가능성이 높아지고 설계사 수익도 악화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