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 과거사 갈등이 좀 처럼 해결될 기미가 보이지 않는 가운데 3개국 모두 책임을 져야 한다는 미국의 주장이 나와 논란을 빚고 있다.
지난달 27일(현지시간) 워싱턴DC카네기 국제평화연구소 세미나에서 기조연설자로 나선 웬디 셔먼 미국 국무부 정무차관은 “민족감정은 여전히 악용될 수 있고, 정치지도자가 과거의 적을 비난함으로써 값싼 박수를 얻는 것은 어렵지 않다”며 “그러나 이 같은 도발은 진전이 아니라 마비를 초래한다”고 비판했다. 과거사 논란을 처음 촉발한 국가로 일본을 지적한 것이 아니라 한국과 중국이 이를 이용해 국내 정치로 이용한 것이란 발언이어서 이목을 끈 것.
셔먼 차관은 “스스로 만든 역사의 덫에 갇히는 국가의 위험스런 이야기를 멀리서 살펴볼 필요가 없다”며 일본도 간접적으로 겨냥했으나 이는 형식적으로 균형을 맞춘 듯하다는 분석이다.
셔먼 차관의 이 같은 언급은 동북아의 과거사 갈등 해법에 대한 미국 정부의 입장을 정리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는 미국이 단순히 이번 사안을 단순히 과거사 차원에서만 보지 않고 동북아 전체의 전략적 구도를 염두에 둔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과거사로 인해 한·미·일 안보협력이 약화되면서 대(對) 중국 견제구도가 흔들리자 서둘러 이 문제를 봉합하는 쪽으로 외교력을 행사하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셔먼 차관은 “과거가 미래 협력에 미치는 영향이 불행히도 너무 크다”고 지적했다.
이밖에 셔먼 차관은 “미국과 일본, 중국, 한국이 지속적으로 같은 방향으로 가고 올바른 목적을 위해 힘을 합친다면 더욱 번영할 것”이라며 “이는 앞으로 몇 달간 오바마 행정부가 지속적으로 강화할 메시지”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