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푼이 아쉽다’…동전 환수율 금융위기 후 최고

입력 2015-02-25 10:1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지난해말까지 3년째 상승세…1985년 이후 ‘한국경제 3대 위기’때를 제외하곤 오른적 없어

경제 상황과 반대로 움직이는 동전 환수율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고 수준으로 높아졌다. 살림살이에 쪼들리다보니 저금통이나 책상 서랍 속에서 잠자는 동전에까지 눈길을 돌려 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25일 한국은행이 최근 펴낸 책자인 ‘우리나라의 화폐’에 따르면 작년말 현재까지 동전(기념주화 제외)의 누적 환수율(발행액 대비 환수액)은 22.3%로 3년째 상승세를 지속했다.

2011년말 21.8%에서 2012년말 22.1%, 2013년말 22.2%에 이은 상승세로, 작년말까지 환수율은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로 성장률이 급락해 0.7%에 그친 2009년말의 22.3%와 같은 수준이다.

한은이 집계한 누적 환수율은 500원 동전 도입으로 현 주화체계가 시작된 1982년 이후 발행된 동전 금액과 한은 금고로 돌아온 동전 금액을 비교한 것으로, 작년말까지 누적 발행액은 2조7164억원이었고 누적 환수액은 6048억원이었다.

문제는 500원 동전 등 현행 6종의 주화 체계가 자리를 잡고 환수율이 1985년말 41.2%로 정점을 찍은 뒤에는 외환위기, 카드대란, 글로벌 금융위기 등 한국 경제의 3대 위기 때를 빼고는 그동안 반등한 적이 없다는 점이다.

한은 관계자는 “경기가 나쁘면 동전까지 탈탈 털어서 쓰는 만큼 집에 사장돼 있던 동전들이 은행을 거쳐 한은 창고로 더욱 많이 환수되는 게 일반적”이라며 “다만, 이번에는 상승폭이 크지 않아서 경기와 연결지어 판단하기는 좀 어렵다”고 말했다.

또 다른 한은 관계자는 “동전 환수율로 현 경기 상황을 판정내리기는 어렵지만 최소한 양극화된 사회에서 어려운 서민 경제를 반영한다고는 볼 수 있을 것 같다”고 해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