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현 서울대 교수 “韓 ‘나홀로 원고’ 예방주사 덜 맞은 것”

입력 2015-02-09 09:0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안동현 서울대 교수가 최근 다른 신흥국 통화들이 큰 폭으로 절하된 것에 비해 원화가 사실상 ‘나홀로 원고’ 현상을 나타나는 것을 두고“원화가 국제적 예방주사를 덜 맞은 것이라고 볼 수 있다”고 우려했다.

안 교수는 지난 6일 한국은행 금요강좌에서 “다른 신흥국들의 통화 가치가 최근 20~30% 빠지는 동안 우리나라는 10% 정도밖에 안 빠졌는데 나중에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기준금리를 인상하고 위기감이 고조되면 자금이 제일 덜 빠진 한국에서 빼자 이런 식이 될 수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이어 “원화가 당장은 많이 절하되지 않은 것이 경상수지 등 우리나라의 펀더멘털이 좋아서라는 분석이 있지만 위기감이 높아지면 펀더멘털이 문제가 아니라 우리나라를 포함한 신흥국은 상당히 취약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미국 연준이 오는 8월 금리인상을 단행할 것이라는 확률이 90%에 이르는 것으로 시장이 기대하는 가운데 이로 인한 위험성이 높은 국가들의 4가지 조건으로 재정·경상수지 적자, 국가부채, 민간부채, 정치적 불확실성 등이 높다는 점을 이 교수는 들었다.

이 중 우리나라는 외환위기를 겪은 국가라는 주홍글씨와 함께 민간부채와 정치적 불확실성 높은 조건에 해당된다고 진단했다. 안 교수는 “최근 세계적으로 민간부채를 중요하게 보고 있는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에서 우리나라의 가처분소득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매우 높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또 환투기를 끌어들이는 요인이 정치적 불확실성인데 외부에서 환공격이 오면 여야가 함께 결기를 보여줘야 하는데 그렇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는 점도 언급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