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 나간 치프라스, 황당 공약 남발...그리스, 유로존서 강제 퇴출 위기

입력 2015-02-09 08:1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구제금융 연장 않고 긴축 후퇴·나치 피해 배상금도 요구…그린스펀 “그리스 차라리 유로존에서 빠져야”

알렉시스 치프라스 그리스 총리가 긴축을 거부하고 공약을 무리하게 추진하겠다는 의사를 밝히면서 ‘그렉시트(Grexit)’ 우려가 더 고조되고 있다.

치프라스 총리는 8일(현지시간) 그리스 의회 연설에서 “기존 구제금융은 실패했다”며 “구제금융을 연장하는 대신 대외채권단과 좀 더 지속적인 프로그램에 합의하기 전인 오는 6월까지 정부 재원을 조달할 수 있는 가교협약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그리스는 이미 이런 제안을 유럽연합(EU) 측에 제출했다”며 “이것은 선거공약을 실천하기 위한 정부의 결정으로 되돌릴 수 없다”고 거듭 강조했다.

치프라스 총리는 총선에서 공약한 대로 오는 2016년까지 최저임금을 현재의 580유로(약 72만3600원)에서 750유로로 점진적으로 올릴 것이라고 밝혔다. 근로자 1인당 면세 소득점도 연간 1만2000유로로 환원할 계획이다. 이는 이전 정부가 구제금융에 따라 실시했던 긴축 프로그램을 취소한 것이다.

그는 또 국영기업을 염가에 매각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며 지난 2013년 폐쇄됐던 국영 ERT방송도 다시 문을 열 계획이라고 전했다. 아울러 2차 세계대전 당시 나치독일에 당한 그리스 피해에 대한 배상금을 요구하는 등 독일을 압박했다. 그는 이날 연설에서 “그리스는 우리 국민과 역사, 나치와 맞서 싸우면서 피를 흘린 모든 유럽인에 대한 도덕적 의무가 있다”며 “우리의 역사적 의무는 점령기간 강탈자금 반환과 배상금을 요구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치프라스의 급진좌파연합(시리자) 정부는 독일은 나치점령 관련 그리스에 약 1620억 유로를 배상할 의무가 있으며 이는 현재 그리스 공공부채의 절반에 이른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리스가 긴축을 정면으로 거부하면서 그렉시트에 더 다가섰다는 평가다.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지난 6일 그리스 국가신용등급을 종전 ‘B’에서 ‘B-’로 강등하고 신용등급 하향조정 감시대상을 유지한다고 밝혔다. 블룸버그통신은 그리스와 EU 간 협상이 타결되지 않을 경우 3월초에는 그리스 정부의 현금이 바닥을 보일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리스 정부의 세수는 지난해 12월 전월 대비 7% 감소했다. 1월에도 감소세는 이어질 전망이어서 디폴트(채무불이행) 우려가 고조되고 있다.

앨런 그린스펀 전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 Fed) 의장은 “그리스에 추가 자금지원을 할 용의가 있는 곳이 보이지 않는다”며 “그리스가 유로존(유로화 사용 19개국)을 탈퇴해야 이 문제가 해결될 것”이라고 말했다. ‘밑빠진 독에 물 붓기’식인 그리스에 돈을 계속 지원하는 것보다 디폴트를 감수하더라도 유로존에서 내보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스를 포함한 유로존 재무장관들은 오는 11일 벨기에 브뤼셀에서 긴급 회동한다. 예룬 데이셀블룸 유로그룹(유로존 재무장관 회의체) 의장은 지난 6일 그리스의 가교협약 제안을 거절했다고 통신은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