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 총리 “구제금융 연장 않을 것…가교협약 추진”

입력 2015-02-09 06:1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최저임금 인상·면세 소득점 환원 실시…나치 피해 배상금도 요구

▲알렉시스 치프라스 그리스 총리가 8일(현지시간) 아테네 의회 연설에서 기존 구제금융 연장을 거부하고 가교협약을 추진하겠다는 의사를 밝히고 있다. 아테네/신화뉴시스

알렉시스 치프라스 그리스 총리가 이달 말 종료하는 구제금융 프로그램 연장 대신 가교협약을 추진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고 8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이 보도했다.

치프라스 총리는 이날 그리스 의회 연설에서 “기존 구제금융은 실패했다”며 “대외채권단과 좀 더 지속적인 프로그램에 합의하기 전인 오는 6월까지 정부 재원을 조달할 수 있는 가교협약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그리스는 이미 이런 제안을 유럽연합(EU) 측에 제출했다”며 “이것은 선거공약을 실천하기 위한 정부의 결정으로 되돌릴 수 없다”고 거듭 강조했다.

치프라스 총리는 총선에서 공약한 대로 오는 2016년까지 최저임금을 현재의 580유로(약 72만3600원)에서 750유로로 점진적으로 올릴 것이라고 밝혔다. 근로자 1인당 면세 소득점도 연간 1만2000유로로 환원할 계획이다.

이는 이전 정부가 구제금융에 따라 실시했던 긴축 프로그램을 취소한 것이다.

그는 또 국영기업을 염가에 매각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며 지난 2013년 폐쇄됐던 국영 ERT방송도 다시 문을 열 계획이라고 전했다.

아울러 2차 세계대전 당시 나치독일에 당한 그리스 피해에 대한 배상금을 요구하는 등 독일을 압박했다.

그는 이날 연설에서 “그리스는 우리 국민과 역사, 나치와 맞서 싸우면서 피를 흘린 모든 유럽인에 대한 도덕적 의무가 있다”며 “우리의 역사적 의무는 점령기간 강탈자금 반환과 배상금을 요구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제3제국(나치)이 그리스를 점령한 4년간 그리스중앙은행에 막대한 전시대출을 강요해 그리스 경제와 금융을 파탄으로 몰고 갔던 일을 언급했다.

치프라스의 급진좌파연합(시리자) 정부는 독일은 나치점령 관련 그리스에 약 1620억 유로를 배상할 의무가 있으며 이는 현재 그리스 공공부채의 절반에 이른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리스가 긴축을 정면으로 거부하면서 독일 등 EU 회원국과의 갈등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베르너 파이만 오스트리아 총리는 현지언론과의 인터뷰에서 “그리스에 돈을 건네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며 “누가 이 돈을 지불해야 하는가”라고 반문했다. 이어 “그리스가 위기에서 빠져나올 여지를 주기 위해 기술적인 신용조건을 협상하는 것은 지지한다”며 “유럽과 그리스 모두 그리스의 유로존(유로화 사용 19개국) 탈퇴 옵션도 준비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리스를 포함한 유로존 재무장관들은 오는 11일 벨기에 브뤼셀에서 긴급 회동한다. 예룬 데이셀블룸 유로그룹(유로존 재무장관 회의체) 의장은 지난 6일 그리스의 가교협약 제안을 거절했다고 통신은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