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보다 16m 더 높게…” 현대차 115층 초고층 빌딩, 남은 과제는?

입력 2015-02-02 08:4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공공기여 정도, 고층건물에 대한 부정적 여론 해소가 핵심변수

▲현대차가 서울시에 제출한 한전부지 개발 제안서 모형도(.사진제공=서울시)
현대차그룹이 삼성동 한국전력 부지 개발 사업 계획안을 서울시에 체출하면서 사업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이번 계획의 성사 여부는 공공기여 정도와 고층건물에 대한 부정적 인식 해소가 핵심변수로 꼽히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지난달 30일 삼성동 한국전력 부지에 571m 높이의 115층 초고층 사옥 ‘글로벌비즈니스센터(GBC)’를 짓겠다는 사업 제안서를 서울시에 제출했다. 당초 알려진 층수(105층, 571m)보다도 10개층이 더 올라갔다.

이는 내년 완공될 롯데그룹의 제2롯데월드(125층, 555m)보다 층수는 5층 낮지만 실제 높이는 16m 높다. 현대차의 제안대로 통합 신사옥이 완공될 경우, 국내 최고층 빌딩 타이틀을 거머쥘 것으로 보인다.

시는 분야별 전문가들과 협상조정협의회를 구성해 제안서를 토대로 사전협상에 착수하고, 교통·환경영향 등을 면밀히 검토할 방침이다. 사전협상에는 약 9개월이 걸릴 것으로 시는 예상했다. 협상에선 용적률의 적정성, 공간 배치 등 건축계획의 합리성, 교통량 분산 대책, 공공기여 방안 등을 논의한다.

업계에선 현대차와 서울시 협상에서 공공기여 정도가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내다봤다. 시는 부지면적의 40% 내외에 해당하는 가치를 토지나 기반시설 또는 기부금으로 받겠다는 입장이다. 시는 제3종일반주거지역이던 부지를 일반상업지역으로 변경해주면서 용적률이 최대 800%까지 늘어났다며 개발이익을 환수 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현재 서울시는 한전 부지 가운데 40% 정도를 기부 채납 형태로 시에 기증하든지 아니면 1조5000억~2조원 가량을 기부 채납금으로 내야 한다는 입장이다.

현대차가 서울시에 제안한 기부채납 규모는 기반시설과 기부금 등을 포함해 1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직접 사업지 주변에 도로를 내고 공공 문화집회시설 등을 짓거나 시가 사업을 수행할 비용을 대는 방식으로 공공기여를 하겠다는 것. 시가 제시했던 공공기여 금액을 감안하면 일단 규모 면에서는 어느 정도 의견이 일치한다.

고층건물에 대한 부정적인 여론 해소도 관건이다. 최근 제2롯데월드는 건설 과정에서 각종 안전사고와 건물고도제한 등 인허가 문제 등을 놓고 여론의 질타를 받았다. 더군다나 조기 개장을 강행하면서 안전문제가 이슈가 불거지면서 부실공사 문제도 제기되는 등 사태가 커지고 있다. 현대차는 착공전부터 안전성에 대한 다양한 대책을 서울시에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는 “제2롯데월드의 전철을 밟지 않기 위해선 시, 지역주민들과 비상대책 기구를 만들어 운영하는 방안도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