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십견 환자 10명중 8명 50대 이상 차지

입력 2015-02-01 12: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국내 오십견 환자 10면중 8명이 50대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어깨의 유착성 피막염(오십견)' 으로 인한 건강보험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13년 기준 전체 진료인원은 74만 953명이었다.

성별로는 남성이 28만 8346명, 여성은 45만 2607명으로 여성이 남성의 1.57배이었고, 2008~2013년 연평균 증가율은 남성(3.55%)이 여성(1.96%)보다 높았다.

특히 연령별로는 50대 이상 연령층이 전체 진료인원의 대부분인 82%의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준 연령대별 인구수를 보정한 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에서는 70대(5237명)가 가장 많았고 60대(4277명) 80세 이상(3617명) 50대(3028명) 순이었다.

40대 이상 연령에서는 여성 진료인원이 남성에 비해 많았고, 반면, 30대 이하 연령에서는 남성 진료인원이 더 많았다.

오십견은 날씨가 따뜻해지면서 활동량이 증가하는 봄철, 특히 3월의 진료인원이 1년 중 가장 많았으며, 남성과 여성에서 이러한 현상은 동일하게 나타났다. 반면, 9~11월에는 진료인원이 가장 적었다.

2008년부터 2013년까지 ‘오십견’으로 병원을 찾은 진료인원 및 진료비를 요양기관 종별로 분석한 결과, 진료인원 연평균 증가율은 병원 급이 15.82%로 가장 높았고, 반면, 상급종합병원을 찾는 환자는 감소하는(증가율 -0.99%) 추세로 나타났다.

오십견은 흔히 동결견이라고도 말하는데, 어깨 관절의 움직임에 제한을 동반한 통증이 있는 상태를 일컫는다. 보통 세수 할 때나 머리 감고 말릴 때도 통증 때문에 어깨를 들 수가 없으며 셔츠 단추를 쉽게 끼우지 못하는 등의 증상이 발생한다.

특히 50대, 중년 연령대에 아무 원인 없이 발생하기도 하며 무리한 운동 또는 가사일, 국소적 충격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당뇨나 갑상선 질환이 있는 경우 호발할 수 있다.

초기에는 보존적 치료로써 수동적 스트레칭(passive stretching exercise)과 온열 치료, 약물치료가 해당될 수 있다.

일산병원 재활의학과 홍지성 교수는 "통증과 관절 범위 제한이 심할 경우 초음파 유도하 관절강내 스테로이드 주사치료가 효과적이며 이외에도 수압을 이용한 관절낭 팽창주사가 도움을 줄 수 있다"며 "가장 중요한 것은 환자 본인의 신장운동이 필요하며 체계적이고 규칙적인 운동이다"고 조언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