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년째 마이너스 성장... 위스키 시장은 끝없는 추락 중

입력 2015-01-12 08:2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감소폭 축소가 위안거리…글로벌 업체 부진 속 골든블루 57% 성장 눈길

위스키의 추락이 6년째 이어지고 있다. 2013년에 이어 작년에도 위스키 소비가 줄어드는 등 하락 추세가 멈출줄 모르고 있다. 올해 역시 위스키 소비 감소와 더불어 시장 1, 2위 업체들이 천문학적 과징금 부과를 앞두고 있어 험로가 예상된다.

12일 주류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에서 출고된 위스키는 모두 178만7357상자(1상자=500㎖/18병)로 2013년(185만692상자)보다 3.4% 감소했다. 2008년 감소세로 돌아선 이후 6년째다. 2009년 -10.1%, 2010년 -1.4%, 2011년 -4.8%로, 2012년 -11.6%, 2013년 -12.8% 등 계속 마이너스 성장이 이어졌다.

그나마 위안거리는 2013년보다 지난해 감소폭이 줄어들었다는 점이다.

업체별로는 업계 1위 디아지오코리아의 위스키 출고량이 2013년 약 72만상자에서 지난해 70만5000상자로 2.1% 줄었다. 디아지오는 윈저 등을 판매한다. 발렌타인과 임페리얼 등을 판매하는 페르노리카코리아의 출고량은 1년간 13.5%(57만9000→50만2000상자) 급감했다.

롯데주류(스카치블루) 역시 출고량이 9.9%(27만3000→24만6000상자) 줄었고, 지난해 30대를 겨냥한 블렌디드 위스키 ‘더 클래스’를 내놓은 하이트진로는 출고량이 17.4%(6만8000→5만6000상자) 줄어 평균 감소폭보다 높았다.

반면 국내에서 저도 위스키 시장을 주도했던 골든블루는 출고량이 57.3%(12만3000→19만3000상자) 늘어나며 독주를 이어갔다. 특히 골든블루는 올해 지난해의 절반 수준인 30%의 성장률만 달성하더라도 지금껏 롯데주류가 지켜온 위스키 시장 3위 자리를 거머쥘 가능성이 커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올해도 위스키 시장은 먹구름이 끼었다. 글로벌 주류업체들이 잇따라 과징금 등 악재를 만났기 때문이다. 디아지오코리아는 최근까지 관세청과 4000억원대 세금 분쟁을 벌인 결과 2000억원대의 세금을 내라는 법원 중재안을 받아들여 수익성 악화가 예고되고 있다.

페르노리카코리아 역시 지난해 과징금 부과와 출고량 감량 조치 등으로 어려움을 겪은데다 주력제품인 임페리얼의 턴어라운드 조짐이 보이지 않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위스크 업계의 어려움이 올해도 계소될 전망이어서 올해 신제품 출시 등으로 그간의 부진을 만회하기 위한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