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준형의 터닝포인트] 증시 가격제한폭 확대 ‘양날의 검’

입력 2015-01-05 11:1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정부의 자본시장법 개정안이 올 들어 본격적인 효과를 낼 것으로 보인다. 국민연금을 비롯한 주요 연기금 역시 금융투자업계에서 목소리를 낼 것으로 보인다. 좀처럼 박스권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시장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정책과 제도가 도입되고 있는 셈이다.

이런 분위기에 주식시장도 일단 나쁘지는 않다.

2014년 연말 기준 국내 주식시장에서 선택할 수 있는 종목이 마침내 2000개를 넘었다. 지난 2007년 1900개를 넘어선 이후 7년여 만이다. 지난해 기업공개(IPO)가 봇물을 터트렸고 상장주식 수도 크게 늘었기 때문이다.

5일 현재 코스피(유가증권)·코스닥·코넥스 시장 등 3곳에 상장된 회사는 1905곳. 우선주를 비롯해 별도종목까지 계산하면 종목은 2035개나 된다. 주식수도 600억주를 넘었다.

후강퉁 개막과 함께 해외주식에 투자할 수 있는 기회도 확대됐다. 글로벌 시장을 뒤흔드는 주요 국가별 지수에 따른 파생상품도 봇물을 터트렸다. 이처럼 금리 인하로 인해 은행을 빠져나온 자금은 속속 금융투자업계로 스며들 전망이다. 또 이러한 행태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투자자와 투자금이 늘어나면서 증시에 대한 낙관론도 커졌다. 비관적 전망치를 들고 금융투자에 뛰어드는 사람은 없다. 해마다 연초가 되면 이러한 낙관론이 설득력을 얻기도 한다.

이처럼 맹목적인 낙관론에 대한 우려도 이어진다. 공산품을 비롯해 특정 소비재를 구입한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제품 만족도 조사를 해보면 비슷한 답이 나온다.

많이 팔리는, 그래서 인기있는 차(車)를 구입한 소비자는 제품에 대한 불만이 많다. 반면 남들이 선택하지 않은 차를 구입한 소비자는 오히려 만족도가 높다. 자신의 선택에 대한 ‘당위성’을 강조하기 위한 심리적 방어다. 남들이 고르지 않은 제품을 선택했는데 만족도까지 낮다면 스스로 자신의 선택이 실수였음을 인정하는 셈이 되기 때문이다. “잘못 골랐지만 그 실수를 인정하기는 싫어”라는 의미이기도 하다. 투자자 역시 마찬가지다. 투자자가 늘어날수록 증시에 대한 비관론보다 낙관론이 설득력을 얻게 된다.

올해부터 증시와 관련한 다양한 정책과 제도가 도입된다. 지난해 말 발표한 주식시장 발전 방안에 따른 것이다. 가장 먼저 눈길을 끄는 것은 ‘주식시장 가격제한폭 확대’다. 가격제한폭이 기존 ±15%에서 ±30%로 확대된다. 대부분 30% 수익만 눈에 보일 뿐, 30% 손실에 대한 우려는 안중에 없다.

전문가들은 새 제도를 “서슬퍼런 양날의 검”에 비유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는 여전히 상대를 향한 칼날만 보고 있을 뿐, 거꾸로 나를 향한 칼날을 보지 못하고 있다. 맹목적인 낙관론이 우려되는 것도 이런 이유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