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경제 회복세 확대·선진국의 성장속도 차이·유가 하락·강달러·차이나 리스크 등
다사다난했던 올해가 저물어가고 있다. 특히 한국경제는 대외적 이슈에 상당한 영향을 받으며 울고 웃었다. 지난해 말부터 시작된 미국의 양적완화 테이퍼링(점진적 양적완화 축소)를 기점으로 중국 경제상황과 국제 환율 리스크 등이 올 한해 한국경제 곳곳에 영향을 미쳤다. 특히 최근 이웃나라 일본이 예상밖 추가 부양을 내놓는 바람에 한국 원화 가치는 곤두박칠치기도 했다. 그렇다면 내년 국제금융시장과 한국경제 방향을 좌우할 대외적 핵심 변수들은 무엇일까?
![](https://img.etoday.co.kr/pto_db/2014/11/600/20141121103335_543602_250_174.jpg)
그러나 내년 세계 경제 전망은 그리 밝지만은 않다. 주요기관들은 내년 세계 경제 성장률이 3.8% 내외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 국제금융센터는 실제 세계 경제가 전망보다 더 낮은 반등에 그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세계경제 반등의 열쇠는 주요국에 있으나 이들의 회복세가 아직 뚜렷하지 않다는 이유에서다.
![](https://img.etoday.co.kr/pto_db/2014/11/600/20141121103405_543604_250_174.jpg)
![](https://img.etoday.co.kr/pto_db/2014/11/600/20141121103449_543608_250_174.jpg)
당장 오는 27일 오스트라 빈에서 열리는 OPEC 석유장관 회의에서 원유 생산량 감축 결정이 나올지 여부에 시장의 관심이 쏠렸다. OPEC의 감산 여부에 대한 시장의 전망은 제각각이다. OPEC이 글로벌 원유시장 점유율 확보를 위해 쉽게 감산 결정을 내리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반면, 유가 하락세를 막고자 감산하는 방향으로 뜻을 모을 가능성이 있다는 주장도 힘을 받고 있다.
골드만삭스는 내년 중반에 유가가 배럴당 30달러 선으로 떨어지게 된다면 ‘새로운 석유시장 질서’가 정립될 것으로 전망했다. 은행은 “가파른 움직임 이후에 조정양상을 보이는 것은 당연하지만 이러한 조정폭은 예상보다 더 커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https://img.etoday.co.kr/pto_db/2014/11/600/20141121103518_543612_250_174.jpg)
국제금융센터는 “내년 주요국 환율의 급변 가능성이 커 개별 기업과 정부 차원에서 보수적인 환위험 관리가 필요하다”며 “특히 환율 변동성, 엔저 상황에 대한 대비 및 정책적 지원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다만 올 하반기에 이미 상당 수준 달러화 강세가 진행돼 내년 미 경제가 강한 회복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달러 강세폭은 올해 수준을 상회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주장한다. 즉 달러 강세는 실물경제 회복 속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어 경기회복이 애초 기대에 못 미치면 달러 강세는 ‘소문난 잔치’에 그칠 수 있다는 설명이다.
![](https://img.etoday.co.kr/pto_db/2014/11/600/20141121103539_543614_250_173.jpg)
주요 기관들은 중국의 성장률이 2013년 7.7%, 2014년 7.4%에 이어 내년에는 7.1%로 전망했다. 중국의 사회과학원도 2016~2020년 잠재성장률을 기존 7.1%에서 6.2%로 하향 조정했다.
더군다나 중국 정부의 지속 성장을 위한 구조개혁이 미진할 시에는 성장동력이 약화할 뿐만 아니라 거품 붕괴 등 경착륙 위험도 증대할 것이라는 예상이 나온다. 중국 국무원발전연구중심은 정부의 개혁 조치가 미진할 시 장기성장률이 약 1.5%포인트 추가 하락할 것으로 분석했다.
그러나 중국 정부의 개혁정책은 한동안 경기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된다. 부동산 가격 억제는 ‘투자위축’을, 과잉유동성 억제는 ‘신용불안’을, 반부패 척결은 ‘소비위축’을 일으킬 수 있다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