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제윤의 마지막 경고 "사외이사 자기권력화 차단"…KB금융 이사회 결단은?

입력 2014-11-20 11:3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신제윤 금융위원장이 KB금융 사외이사들에게 마지막 경고장을 보냈다. 금융회사 지배구조 모범규준을 마련하고 사외이사들의 자기권력화를 철저히 차단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내분사태 책임론에도 불구하고 '모르쇠'로 일관하고 있는 KB금융 이사회를 겨냥한 풀이된다. 최수현 금융감독원장까지 책임을 지고 물러난 상황에서 KB금융 사외이사들의 거취에 여론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20일 금융위원회가 금융발전심의회를 열고 마련한 '금융회사 지배구조 모범규준'에 따르면 소유권이 분산돼 있는 금융지주와 은행들의 사외이사는 임기는 2년에서 1년으로 단축된다. 따라서 총 임기는 5년으로 줄어든다. 다만 보험, 금융투자회사, 여신전문금융회사 등 제2금융권은 현행처럼 3년(총임기 5년)이 유지된다.

투명성 제고를 위해 사외이사들은 활동내역, 개인별 보수(일체의 경제적 이익 포함), 평가결과 등을 공시해야한다. 현재는 전체 보수총액만 공시되고 여타 경제적 이익은 추상적으로 기재되고 있다.

사외이사를 뽑을때 과정도 까다로워진다. 신임 사외이사는 구체적 추천사유를 명시토록 하고 재선임되는 사외이사는 재임시 주요활동 내역을 추가해야한다.

신제윤 금융위원장은 "최근 일부 사례가 보여주듯 금융회사 지배구조의 난맥상은 주주가치와 해당 회사의 건전경영을 위협할 뿐만 아니라 금융 시스템안정과 신뢰까지 훼손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어 "이사회가 자기권력화 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선임부터 평가, 공시에 이르는 전 과정을 개선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방안은 KB내분사태로 인해 마련된 것이다. 따라서 신 위원장의 '사외이사들의 자기권력화를 차단' 발언은 KB금융 이사회의의 자진사퇴를 재압박한 것으로 업계 관계자들은 해석하고 있다.

당국의 경고장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신 위원장은 국감에서 "사외이사들이 책임은 없고 권한만 있다"고 지적했으며 정찬우 금융위부위원장도 한 세미나 기조연설에서 "KB금융 사외이사 때문에 금융사 지배구조에 불신이 확산되고 있다"고 꼬집었다.

그러나 이같은 당국의 거듭된 압박에도 불구하고 KB금융 사외이사들은 '묵묵부담'으로 일관하며 자리지키키에 연연하고 있다.

지난 12일 김영진 이사는 서울 명동 KB금융 본점에서 임시 이사회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이사진들 거취부분에 대해서는 논의하지 않았다"라고 말했다. 이경재 이사회 의장 등 다른 사외이사들도 기자들의 질문에 아무런 답변도 하지 않은채 서둘러 본사를 빠져나갔다.

사외이사들의 사퇴 거부로 가장 큰 고민에 빠진 사람은 오는 21일 주총을 통해 정식 수장에 오르는 윤종규 회장 내정자다. 금융위는 최근 예방한 윤 내정자에게 LIG손해보험 인수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뜻을 전달했다. 지배구조 개선에 대한 가시적인 성과가 있어야 승인을 검토하겠다는 의미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최수현 금감원장까지 이번 사태에 책임을 지고 물러난 상황에서 원장까지 KB금융 사외이사들의 자리지키기는 더이상 명분이 없어 보인다"고 꼬집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