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항공-아시아나, ‘운항정지 vs 과징금’ 신경전 어디까지…

입력 2014-10-17 18:2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이 지난해 미국 샌프란시스코 사고를 낸 아시아나항공에 대한 행정처분 수위를 놓고 신경전이 과열 양상을 띄고 있다. 대한항공은 “엄정하고 일관성 있는 행정처분 집행”을 촉구했고, 아시아나항공은 “동종업계 종사자로서 최소한의 금도를 지켜달라”고 맞대응했다.

대한항공은 17일 입장자료를 통해 인명이 희생된 항공기 사고임에도 아시아나항공이 최근 보이는 여론몰이식의 책임회피 행태를 우려했다.

대한항공 측은 “아시아나항공이 미 국가교통안전위원회(NTSB) 조사 결과 조종사 과실이 주원인이라는 명백한 결과가 나왔으나, 기체 결함론을 계속 주장하는 등 사고의 본질을 호도하고 있다”며 “안전도에 대한 국민의 우려는 도외시한 채, 아시아나가 경제적 이익에 집착해 일부 이해관계자들을 여론 조성에 동원하는 최근의 상황은 심각한 우려를 표한다”고 밝혔다.

대한항공은 또 정부의 일관성 있고 엄정한 행정처분도 요구했다. 이 회사는 “안전에는 양보가 있을 수 없다. 정부의 행정처분이 일관성 없이 항공사나 사고에 따라서 달라진다면, 정부 정책에 대한 신뢰도는 심각히 훼손될 것”이라며 “최근 아시아나항공의 인천-사이판 노선의 안전운항 규정 위반에 대해 인명 피해가 없었음에도 7일간의 운항중단 조치를 취했다는 점을 살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대한항공이 공식 자료를 발표하며 입장을 표명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아시아나에 대한 엄정한 처분을 촉구하는 것은 과거 자신들이 받았던 강력한 행정처분 때문이다. 대한항공은 1997년 괌 추락 사고 등으로 운항정지 처분을 받았으며 국제선 신규노선 배분 등에서도 제재를 받았다. 이는 신생 항공사였던 아시아나항공이 급성장할 수 있는 배경으로 작용했다는 게 업계의 해석이다.

대한항공은 “당시 가혹할 정도의 강력한 행정처분을 환골탈태의 기회로 삼아 안전운항을 위한 노력을 게을리하지 않은 결과 2000년 이후 무사고 항공사로 거듭났다”며 “대형 사고가 나더라도 과징금 납부와 같은 솜방망이 처분으로 면죄부를 받는다면 안전도 제고 노력은 무디어질 수밖에 없고, 결국 또 다른 항공 사고와 새로운 희생자를 유발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아시아나항공은 즉각 입장자료를 내고 대한항공에 대해 동종 업계 종사자로서 최소한의 금도(襟度)는 지켜달라고 밝혔다.

아시아나항공은 이날 “‘일부 이해관계자들을 여론 조성에 동원’ 운운한 대목에서 우려를 금할 수 없다”며 “이는 인천공항에 취항하는 43개 항공사들과 미주 한인 총연합회 등 교민단체의 선의와 순수성을 모독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다른 영역에서는 경쟁하더라도 안전에 있어서 만큼은 서로 협력하고 격려하는 관계가 되어야 한다”며 “큰 시련과 아픔을 극복하고 안전을 위해 매진하고 있는 동 업계 종사자에 대한 최소한의 금도를 지켜주길 바란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