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와 금융산업] 소비자 인식 부정적 ... 활성화에 걸림돌

입력 2014-10-15 11:0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미국에서는 은행은 물론 증권, 보험 등 제2금융권에서도 빅데이터를 이용해 업무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일부 비은행 금융회사들은 데이터 분석을 통해 지역 금융회사보다 신속하게 대출 서비스를 제공한다. 반면 우리나라 금융권의 빅데이터 활용 수준은 아직 걸음마 단계라는 것이 금융권의 시각이다.

금융권에서 빅데이터를 활용하려는 움직임은 오래되지 않았다. SNS 사용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함께 발전한 해외 사례와는 달리 국내 금융권의 빅데이터 도입 역사는 짧다. 김종현 우리금융 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국내 금융권은 2~3년 전 빅데이터라는 용어가 등장하면서부터 인식이 변화했다”면서 “일부 카드사와 보험사가 도입했지만 온전히 활용한다고 보기 힘들다”고 말했다.

그러나 2000년대 초 금융권이 도입한 이상거래탐지시스템(FDS·Fraud Detection System)으로 이미 빅데이터를 활용하기 시작했다는 시각도 있다. 1998년 신용카드사를 중심으로 시작한 FDS는 도입 후 5년간 8개 카드사에서 14만8386건의 이상거래를 적발해내면서 금융사고를 방지하는 효과를 거두었다. 은행들은 이를 통해 자금세탁 징후를 포착하고, 보험사에서는 사기범죄 적발 및 예방을 도모한다. 접속로그 분석으로 금융사기 피해를 최소화하는데 기여했다.

금융권의 빅데이터 활용 노력에도 걸림돌이 적지 않다. 금융권과 관련 학회는 빅데이터에 대한 개념 정의를 명확히 할 필요성에 공감했다. 이들은 데이터의 비정형성과 기존 처리 방식으로 다루기 힘든 데이터를 빅데이터로 명명하기로 가닥을 잡았다.

소비자들이 필요성을 인식하지 못하는 문제도 지적됐다. 신윤성 산업연구원 이사는 “소비자는 자신의 개인정보를 주고 얻을 수 있는 가치를 크다고 보지 않는다”며 “차라리 온라인 거래 사이트의 MD(상품기획자)가 추천하는 상품을 더 선호한다”고 했다.

더 많은 데이터가 금융권에서 활용됨에 따라 보안 문제도 커질 것으로 보인다. 중요 신상정보에 생활방식까지 고스란히 노출된다는 점에서 보안의 중요성은 크다. 게다가 최근 금융권의 보안사고가 소비자의 인식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기도 했다.

이윤석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빅데이터 활용에 있어 가장 큰 과제인 금융보안에 대한 CEO들의 인식 자체가 여전이 낮다”며 “보안사고 발생시 피해가 막대한 만큼 보안을 수익창출보다는 비용 최소화 측면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정부에서도 채찍만 휘두르지 말고 사고를 내지 않은 곳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등 당근도 줘야 한다”고 덧붙였다.

개인정보 보호와 보안의 근본적 해결책으로 비식별화(대상의 일반화)가 대안으로 떠올랐다. 비식별화를 거치면 금융권 데이터가 유출되더라도 개개인 피해를 최소화할 뿐 아니라 정보 거래까지 활성화할 수 있다. 박동규 PwC 컨설팅 이사는 “서드파티(고객·서비스 제공자 외 제3자) 데이터 밴더(판매상)들이 사고파는 문화가 형성되지 않으면 안된다”며 “모든 것을 스스로(금융권) 구축하는 것은 시간적으로 한계가 따른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