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TV·DTI 등 부동산 대출규제 완화 영향
지난 8월 예금취급기관의 가계대출이 1년 2개월내 최대폭으로 증가하면서 또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다. 이는 정부가 8월에 주택담보인정비율(LTV)과 총부채상환비율(DTI) 등의 부동산 대출규제 완화를 시행한 것이 주요인이다. 실제로 은행의 주택담보대출의 오름폭은 7년 9개월 이후 가장 컸다.
한국은행이 13일 발표한 ‘예금취급기관 가계대출’ 자료에 따르면 지난 8월 말 현재 예금은행과 비은행 예금취급기관(저축은행·신용협동조합·새마을금고·상호금융 등)의 가계대출 잔액은 총 717조2000억원으로 전달에 비해 6조3000억원 늘었다. 지난 2013년 6월 6조5000억원 증가한 이후 1년 2개월내 최대 오름폭이다.
이에 따라 예금취급기관의 가계대출 잔액은 지난 2월(688조1000억원)부터 7개월째 역대 최대치를 갈아치우고 있다. 한은 관계자는 “정부가 8월부터 LTV, DTI 등의 부동산 대출규제 완화를 시행했고, 주택금융공사의 상품인 금리조정형 적격대출의 8월 금리가 낮아 관련 대출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고 설명했다.
금융기관별로 보면 예금은행의 가계대출이 한달 전에 비해 5조원 불어난 497조6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증가분의 전체가 주택담보대출에서 비롯됐다. 특히 은행 주택담보대출의 증가분은 지난 2006년 11월(5조원) 이후 7년 9개월내 가장 크다.
비은행 예금취급기관의 가계대출은 219조6000억원으로 7월에 비해 1조3000억원 늘었다. 주택담보대출이 1000억원, 기타대출이 1조1000억원 증가했다.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434조4000억원)이 3조6000억원 불어 전달의 증가폭(2조5000억원)에 비해 확대됐다. 반면 비수도권(282조9000억원)은 2조6000억원 늘어 전달의 오름폭(3조3000억원)에 미치지 못했다. 정부의 이번 부동산 대출규제 완화의 영향이 수도권에 주로 해당됐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