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장기전세주택(Shift) 급감···역대 최저 수준

입력 2014-09-17 15:01수정 2014-09-18 10:3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2007년 첫 도입된 장기전세주택(Shift) 공급량이 올해 들어 역대 최저수준까지 떨어지면서 정책 지속성에 대한 우려감이 커지고 있다. 과거 오세훈시장이 도입했던 장기전세주택(이하 시프트)은 집에 대한 생각을 ‘사는(buy) 것’에서 ‘사는(live) 곳’으로 바꾼다는 슬로건아래 탄생한 공공형 전세주택이다.

2007년부터 2014년까지 1~27차에 걸쳐 2만6천여 가구를 공급했으며 주변 전세가격의 80% 수준에 최장 20년까지 거주하도록 공급해 무주택 서울시민에게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27차인 올해 6월에도 410가구 공급에 총 5803명이 접수해, 평균 14.2:1의 높은 청약경쟁률을 기록했다.

하지만 이처럼 높은 인기에도 불구하고 서울지역의 공공택지 개발여력이 크게 줄면서 신규 공급 전망은 불투명한 상황이다. 지난해에는 강서구 마곡지구 신규물량의 영향으로 6065가구가 공급됐던 반면 올해는 공공택지 물량이 급감하면서 842가구 수준으로 쪼그라들 예정이기 때문이다.

서울의 마지막 금싸라기 땅으로 불리던 마곡지구 공급까지 마무리된 상황이어서 추가로 시프트 공급량이 크게 늘어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과거 연도 별로 공공택지에서 공급된 시프트 물량 비중을 보면 △2007년 1962가구(97.32%) △2008년 2354가구(89.68%) △2009년 2269가구(69.97%) △2010년 7271가구(98.70%) △2011년 3429가구(97.17%) △2012년 706가구(84.35%) △2013년 5338가구(88.01%)로 전체 공급량의 대부분을 공공택지 물량이 차지했었다.

반면 2014년에는 공급예정 842가구 중 497가구(59.03%)만 공공택지 물량으로 공공택지의 물량부족이 곧 시프트물량의 급감 현상으로 연결되고 있다. 서울에서 추가적으로 개발될 택지지구가 부족한 상황이므로 다가올 2015~2016년에는 올해보다 공급량이 더 줄어들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때문에 시프트의 신규공급을 노리고 대기 중인 무주택 수요자라면 청약에 대한 기대감을 과거보다 크게 낮춰야 할 것으로 보인다. 장기적으로 시프트의 희소성은 공급 부족으로 더 높아질 전망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신규공급은 물론 과거에 공급된 기존 공공택지의 재계약물량에 대한 틈새시장도 공략에 나설 필요가 있다.

시프트의 기본적인 청약조건은 ‘서울시에 거주하고 본인과 세대원 전원이 무주택인 세대주’다. 하지만 경쟁이 치열하면서 입주자 선정조건은 다소 까다롭다. 우선 가구의 월평균 소득이 70%이하인 세대 중에서 해당 지역(구) 거주자에 우선순위를 부여하므로 시프트가 공급될 지역에 미리 거주하고 있는 것이 매우 유리하다.

또한 청약저축 월 24회 이상(14.9.1대책으로 12회 변경 가능성 있음) 납입, 세대주 나이, 서울 거주기간, 신혼부부, 다자녀(3자녀 이상) 및 부양 가족 수, 장애 여부 등에 따라 가점 요건이 있는 만큼 본인의 경쟁우위 요소를 꼼꼼하게 계산해야 한다.

윤지해 부동산114 연구원은 “하지만 시프트도 일반적인 전세처럼 2년 단위로 재계약을 하므로 공가에 의한 재계약 물량도 다수 나올 수 있다”면서 “또한 은평지구나 강일지구처럼 과거부터 대규모 공급이 누적된 공공택지에서도 꾸준하게 공가가 발생하고 있으므로 시프트 모집공고를 쉽게 지나치면 곤란하다”고 조언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