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北,2~7월 미사일 250발 발사...7월부터 5000원 신권 발행"

입력 2014-07-31 19:1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軍사이버사령부에 예산지원 중단

북한이 7월 말부터 5000원짜리 신권을 발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가정보원은 31일 국회 정보위원회에서 이병기 원장이 참석한 가운데 이같이 보고했다고 정보위 여야 간사인 새누리당 이철우, 새정치민주연합 신경민 의원이 기자들에게 전했다.

국정원은 북한의 신권발행 배경과 관련, 숨겨놓은 자금 규모 파악과 양성화, 부정축재 처벌 등을 위한 조치로 해석하고 있다.

이에 신경민 의원은 북한의 신권발행과 관련, "약간의 사재기 혼란이 있었다고 한다"면서 전했다.

북한은 또 기존 김일성 주석 사진만 실렸던 당원증도 김일성과 김정일 국방위 위원장의 사진을 병렬로 실은 새 당원증으로 교체했다고 국정원은 보고했다.

신경민 의원은 "북한이 최근 지속적으로 미사일을 발사해 2~7월 사이 8종 250여 발의 미사일을 발사했고, 소요비용만 6천700만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국정원이 보고했다"고 전했다.

그는 또 "북한 미사일 발사가 예전에는 고정식이었는데 (최근에는) 이동식으로 발사를 많이 해서 관측이 쉽지 않고, (발사지점도) 남하하고 있다는 보고를 받았다"고 말했다.

국정원은 댓글논란이 일었던 군 사이버사령부에 대한 예산지원에 대해선 "앞으로 지원하지 않겠다"고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국회 정보위는 이날 이성한 경찰청장으로부터 유병언 전 세모그룹 회장의 변사체 발견과 관련해서도 보고를 받았다.

새정치연합은 세월호의 업무용 랩톱에서 발견된 '국정원 지적사항' 문건과 관련해 국정원의 관련 의혹을 추궁했다.

국정원은 문건 작성자가 5월 중순에 세월호에서 숨진 채 발견된 세월호 직원으로 추정된다는 보고를 했다고 신 의원은 전했다.

국정원 측은 해명자료를 통해 "국정원이 작성한 적이 없다"면서 "세월호에 대한 보안측정(2013년 3월)과 보안측정을 위한 사전준비(2013년 2월) 당시 세월호 증·개축에 대해 전혀 관여한 바가 없고, 국가보호장비 지정을 위한 대테러·보안취약점만 점검했다"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