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경제경영연구소, ‘국가안전과 ICT’보고서에서 주장
고도화 된 국가안전 대책 마련을 위해 정보통신기술(ICT)을 최대한 활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KT경제경영연구소는 30일 ‘국가안전과 ICT’ 보고서를 통해 “지금은 정부가 국가안전을 총체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적기”라며 “특히 IoT, 빅데이터,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 미래융합기술을 최대한 활용해 인간의 능력으로 할 수 없었던 새로운 안전 서비스를 제공하며 안전수준과 질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인구당 교통사고, 자살, 산업재해 사망률은 OECD 국가 중 1위다. 또 ‘공공질서 및 안전예산’은 국내총생산의 1.3%로 OECD 28개국 중 24위를 기록, 안전에 취약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보고서는 “지금까지 ICT는 기존 안전관리 시스템을 효율화하는데 집중해 왔었지만, 이제는 실질적으로 위험요소를 예측·예방하며 신속한 대응과 복구를 위해 다양한 ICT 활용이 실천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실제 정부는 최근 들어 상당수 안전정책을 ICT 기반으로 신설·개선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특히 자연재난 뿐 아니라 국방, 인적재난, 사회적안전, 생활안전(범죄, 공공시설물, 식품, 취약계층) 등 국민안전 관련 전 분야에 걸친 ICT 적용 의지가 엿보인다.
보고서는 우선 빅데이터를 통한 미래 위험 예측 테스트 사례를 소개했다. 복잡하고 대형화되고 있는 국가적 재난·재해의 잠재적 위험요소를 도출하고 피해 규모와 범위를 예측하기 위한 시뮬레이션이 대표적이다. 국내의 경우 농림축산식품부가 KT와 함께 AI 등 가축전염병 확산 방지 시스템을 구축 중이다.
또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구조, 응급조치 등의 안전에 활용될 계획이다. 소방방재청은 한국과학기술연구원과 2015년까지 GPS, 생체신호 센서가 부착된 ‘스마트 소방진압복’을 개발할 예정이다.
기존의 ICT를 통한 안전관리가 재난ㆍ재해, 산업안전 등 특수한 상황에 집중됐다면 최근에는 국민의 일상생활 속 안전환경을 구축하는 다양한 ICT기술도 등장하고 있다.
일례로 KT는 ‘올레 모바일ㆍ스마트지킴이’를 통해 아이의 실시간 위치와 이동경로를 알려주고 위급상황 시 KT텔레캅이 즉시 출동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김재현 연구원은 “백년 앞을 바라보는 성공적인 국가안전 시스템 구축을 위해서는 고정관념을 탈피한 ICT의 창조적 활용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현재 다방면으로 연구되고 있는 국가안전 관련 미래융합기술에 대해 산·학·연의 적극적인 R&D 노력과 정부의 다각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국가안전이 제대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안전에 대한 국민의 인식 제고와 함께 법률과 제도 정비가 선행돼야 한다”며 “잘 만들어진 ICT 인프라를 제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 중심의 지속적인 개선과 의지도 요구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