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해외기업ㆍ자산 싹쓸이 쇼핑’…한국기업 M&A도 증가

입력 2014-07-28 09:1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M&A 시장 내 韓 中 격차 점점 벌어져…中 부동산 시장 하락에 국외서 새로운 투자 대상 찾아

한국 등 전 세계에서 중국 기업들이 ‘기업ㆍ자산 쇼핑’에 박차를 가하며 중국 기업의 국외 인수ㆍ합병(M&A)이 지난해보다 크게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고 28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이 보도했다.

중국기업의 M&A가 증가했지만 한국 기업의 중국 내 M&A는 매년 줄어 M&A 시장에서 한국과 중국의 격차가 점점 벌어지고 있다.

블룸버그는 올해 중국 기업이 해외기업을 M&A(지분투자포함)한 사례는 올해 들어 250건ㆍ439억 달러(약 45조원) 규모 인 것으로 집계됐다고 전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의 171건ㆍ323억 달러보다 건수로는 46% 금액으로는 36%로 증가한 것으로 중국 기업의 해외 M&A 건수는 2012년 271건(640억 달러)에서 지난해 335건(621억 달러)으로 늘어난 데 이어 2년 연속 대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

특히 한국 기업을 중국 기업이 M&A한 건수는 올해 5건(6억6000만 달러)으로 지난해 상반기의 3건(2364만 달러)보다 월등히 증가했다.

반면 한국 기업의 중국 M&A 규모는 올해 3건(2052만달러)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2건(1억5416만 달러)보다 감소해 4년 연속 격감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이런 중국 기업들의 해외 M&A 급성장은 기업들이 막대한 자금을 주체 못하는 가운데 중국 내 최대 투자분야인 부동산 시장의 하락세가 뚜렷해지면서 해외에서 새로운 투자 대상을 찾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올해 1월에는 세계 PC업계 1위 레노버가 구글로부터 휴대전화 제조업체 모토로라를 23억1000만달러에 인수하며 세계 스마트폰 시장 3위 업체 부상했다.

또 지난 4월에는 국유 민메탈그룹이 세계 최대 원자재 거래기업 글렌코어-엑스트라타가 소유한 페루의 라스밤바스 구리광산 지분을 58억5000만 달러에 인수했다. 텐센트는 지난 3월 CJ게임즈에 5억 달러를 투자하는 등 한국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텐센트, 알리바바 등 중국 정보기술(IT) 공룡들은 한국의 앞선 모바일 게임을 확보하고자 한국 게임 개발사들과의 접촉해 M&A나 지분투자 대상을 찾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대형 게임업체 창여우(WW.CYYOU.COM)의 최혜연 한국지사 대표는 “중국의 목표는 유망한 한국의 모바일 게임을 발굴해 중국에서 성공하는 것”이라며 “유통 계약은 물론 필요에 따라 투자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오는 9월 알리바바가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 상장을 통해 미국 기업공개(IPO) 사상 최대인 약 200억 달러의 현금을 조달해 M&A에 쏟을 것으로 전망돼 중국 기업의 국외 매물 ‘쓸어담기’는 한동안 계속 될 것으로 예상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