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 ‘지능형 수요관리’ 적용…친환경 IDC센터 구축

입력 2014-07-28 09:3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내년 7월 평촌에 지하3층ㆍ지상7층 규모 'U+P' 오픈

▲LG유플러스는 내년 7월 평촌에 오픈 예정인 ‘U+ P센터(가칭)’ 에 정부가 시행 중인 ‘지능형 수요관리(DR)’를 국내 상업용 인터넷데이터센터(IDC) 가운데 처음으로 적용한다고 28일 밝혔다. 사진제공 LG유플러스

LG유플러스는 내년 7월 평촌에 오픈 예정인 ‘U+ P센터(가칭)’ 에 정부가 시행 중인 ‘지능형 수요관리(DR)’를 국내 상업용 인터넷데이터센터(IDC) 가운데 처음으로 적용한다고 28일 밝혔다.

지능형 수요관리는 스마트계량기와 에너지 관리 시스템 등 스마트그리드 기술을 이용, 전력사용 감축 및 수요 분산을 유도하는 것을 말한다. 이를 통해 한국전력의 예비전력이 전력수급 경보 ‘준비’ 발령 수준인 450만kW 미만으로 감소하는 경우 IDC 내 자가발전기로 자체 전력수요를 충당함으로써 한전 예비전력을 확보할 수 있다. 때문에 친환경 IDC로 알려져 있다.

U+ P센터의 지능형 수요관리 예비전력은 3000kW로, 전력거래소에서 전력수급경보 ‘준비’ 발령 시 센터의 자가발전기를 가동 해 전력을 자체 공급한다. 이는 지하3층, 지상7층 규모 ‘U+ P센터’ 사무동의 조명, 냉난방 등 전력 일체를 공급할 수 있는 양이다. LG유플러스는 앞으로 기존센터에도 단계적으로 지능형 수요관리를 적용해 범국가적 전력 수요 분산 정책에 동참할 계획이다.

또 자동화 시스템을 통해 국내 상업용 IDC 중 최장기간인 1년 중 7개월 이상을 외기 냉방으로 운영할 방침이다.

이외에도 U+ P센터는 △단열효과 및 열 손실 최소화를 위한 건축 설계 △납, 카드뮴이 없는 무정전 전원장치(UPS)용 친환경 리튬배터리 △심야전력 이용 빙축열 설비 △태양광 발전 시스템 및 지열 냉난방 시스템 △빗물 이용 시설 등을 적용한다.

LG유플러스 구성현 데이터사업담당은 “‘U+ P센터’는 온실가스 배출량 절감 등 환경 보호에 기여함은 물론 다양한 에너지 절감 시설의 도입을 통해 기존 대비 약 30%의 에너지 절감효과가 있는 친환경 IDC로 구축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