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렛증후군 증상, 심하면 무례하고 음란한 행동까지

입력 2014-07-16 07:2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투렛증후군

(뉴시스)

지나치게 눈을 깜박거리거나 습관적으로 어깨를 들썩이고, 이상한 소리를 내는 행동을 말하는 틱 장애, 투렛증후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런 만성적 틱(TIC)증상 및 투렛증후근은 아동의 정서적, 학습적, 성격적 장애뿐 아니라 심하면 정서적 위축을 초래하므로 어려서 고쳐야 한다.

의학계에 따르면 틱 장애는 자신의 의도와 관계없이 근육이 갑자기 반복적으로 빠르게 비율동적으로 움직이거나 기침 등 이상한 소리를 내는 신경학적 특수 증상이다. 대부분 눈을 깜박거리거나 고개를 끄덕이는 현상을 보이다 저절로 없어진다. 1개월 이상 지속되다 1년내에 저절로 없어지는 경우를 일과성 틱, 그 이상 지속되는 경우를 만성틱이라고 한다.

투렛증후근은 틱 장애중 가장 심한 것을 말한다. 18세 이전에 생겨 1년이상 만성적으로 진행되는 신경발달학적 장애다. 만성틱장애는 운동틱이나 음성틱중 한 가지만 나타나는 경우이고 투렛증후군은 이 두가지 틱이 함께 나타난다.

운동틱은 흔히 초기에 얼굴 목 몸통 팔 등에 단순한 증상으로 나타난다. 자주 눈을 깜박거리거나 짧고 발작적으로 눈을 크게 뜨거나 눈동자를 굴리기도하고 코를 실룩거리기도 한다. 입이나 혀를 내밀며 입술을 자주 핥고 이를 꽉 다물기도 하며 머리나 턱을 움직이고 어깨를 으쓱거린다. 여기서 발전하면 복합운동틱이 된다. 복합적인 운동틱이 되면 자신을 치는 행동, 물건이나 다른 사람을 만지거나 건드리는 행동, 옷을 매만지는 행동, 글씨를 쓰면서 연필을 잡아끄는 행동, 무례하거나 음란한 동작, 자신을 상처입히는 행동등을 한다.

음성틱에는 단순하게 기침소리, 코를 훌쩍거리는 소리, 빠는 소리, 가래뱉는 소리를 내는 것에서부터 복합적으로 '옳아' '입닥쳐' '그만해' 등 주변 상황과는 전혀 맞지않는 단어, 구, 절, 문장 등을 반복적으로 말한다.

틱에 대한 치료시 동반장애에 대한 치료도 겸해서 이뤄져야 한다. 틱은 하루 중 시간대에 따라 증상의 강도가 달라지며 특히 스트레스와 밀접한 연관을 갖고있기 때문에 치료로는 약물요법이외에 심리. 사회적 치료, 가족 교육, 행동치료, 학교환경의 변화 등 다각적 치료가 필요하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