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경제분야 정책 총괄하는 사회부총리, 풀어야 할 과제는

입력 2014-06-13 18: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사진=뉴시스
이번에 신설된 사회부총리 자리에 내정된 김명수 한국교원대 명예교수는 교육·사회·문화 등 비(非)경제정책 분야를 총괄하게 된다.

사회부총리제는 지난 2001년 김대중 정부 때 생겨났다가 2008년 이명박 정부에서 폐지된 후 6년 만에 부활했다. 김 부총리 후보자는 사회부총리와 교육부장관을 겸임한다.

청와대와 새누리당 안팎에서는 박근혜 대통령이 비경제정책을 총괄할 명실상부한 '책임장관'을 만들기 위해 사회부총리를 신설한 만큼 막강한 권한과 무거운 책임이 주어질 것이라고 보고 있다.

이번에 새롭게 구성한 박근혜 정부 2기 내각은 국정을 종합관리하는 국무총리를 중심으로 경제부총리, 사회부총리가 위치하고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외교안보정책을 총괄하는 체체로 바뀐다.

이에 김 사회부총리 내정자는 교육부, 미래창조과학부, 안전행정부, 문화체육관광부, 보건복지부, 고용노동부, 여성가족부 등 비경제 분야를 총괄하게 된다. 아울러 국가전체의 인적자원 개발 업무도 중요하게 맡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진보 성향의 교육감들과의 교육정책 조율 역시 김 내정자가 풀어야 할 과제로 떠올랐다. 지난 4일 치러진 17개 시·도 교육감 선거에서 진보 성향 후보가 13곳을 차지하면서 정부와 교육정책에 있어서 갈등을 예고했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김 내정자가 학자지만 보기 드물게 행정 마인드를 갖춰 청와대에서 사회부총리에 발탁됐다고 보고 있다. 그는 소탈하고 원만한 성격으로 주변에 늘 사람이 끊이지 않는다고 알려졌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