뮤지컬 ‘프랑켄슈타인’ㆍ ‘두 도시 이야기’ 연출가 왕용범의 세계와 꿈은? [이꽃들의 사람들]

입력 2014-06-12 10:5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왕용범 뮤지컬 연출가(사진=장세영 기자 photothink@)

올 상반기 뮤지컬계 가장 큰 이슈는 바로 창작극 ‘프랑켄슈타인’의 탄생이다.

뮤지컬 ‘위키드’, ‘고스트’ 등 대형 라이선스 작품의 맹공에도 불구, 1200석 규모의 충무아트홀 대극장을 3개월 간 가득 메우며 총 8만명의 누적관객 수를 기록한 ‘프랑켄슈타인’이다. 창작뮤지컬의 수준을 한층 끌어올렸다는 평가를 얻어낸 가운데, 지난 2일 발표된 더 뮤지컬 어워즈에서 9관왕을 휩쓸었다.

‘프랑켄슈타인’의 극본과 연출을 맡은 뒤 25일 개막하는 뮤지컬 ‘두 도시 이야기의 연출에 열정을 쏟고 있는 왕용범 연출가(40)를 지난 5일 만났다.

“무엇보다 좋은 건 연출상 보다도 올해의 뮤지컬상을 받은 점이다. 애초 목표가 우리들 힘으로 창작뮤지컬이 라이선스의 하위 부류가 아니라는 걸 보여주자는 마음이었다. 또 한 두 명만 받았으면 외로웠을텐데 음악감독상, 안무상, 무대상, 의상상 등 다 같이 받아 다행이다.”

올해로 입봉한 지 17년이다. 그간 뮤지컬 ‘삼총사’(2009), ‘살인마 잭’(2009), ‘잭 더 리퍼’(2010) 등 타이틀 롤을 내세워 흥미와 긴장감을 꾀한 그의 작품은 국내외 관객의 큰 사랑을 받았다. “대학 때 셰익스피어, 막심 고리키, 안톤 체호프를 공부했고 좋아했다. 양단의 조합일 수도 있지만, 제 안에는 두 가지가 다 있다. 소시민의 삶을 다룬 뮤지컬 ‘밑바닥에서’를 애정 깊게 연출한 바 있다.”

9년 만에 하고 싶었던 작품을 한다며 기대감을 고조시킨 ‘프랑켄슈타인’이 좋은 성과를 거뒀다. 차기작을 향한 대내외적 기대가 높다. 한편 우려도 있다. 국내 관객과 두 번째 만난 바 있는 ‘두 도시 이야기’의 반응이 엇갈렸던 탓이다. “‘두 도시 이야기’는 제가 직접 문을 두드려 연출하게 된 작품이다. ‘두 도시 이야기’를 보고 나서 10분 간 울었다. 이 좋은 작품을 더 많은 국내 관객과 보고 싶은 마음이 컸다. 최근 세태를 보며 목소리는 많은데 희생은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요즘 국내 시기와 꼭 맞는 작품이다.”

왕용범 연출은 라이선스 작품이 범람하는 국내 뮤지컬 시장에서 제작자들이 국내 관객의 요구에 꼭 맞는 작품을 들여오도록 주의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창작 인력에 대한 장기적 관점의 투자가 필요하다는 입장도 역설했다.

“과거 영화가 부흥할 때 작가 지망생이 몰려 지금의 영화 다양성을 만들어냈고, 또 드라마가 그랬다. 작가에게 노력한 만큼의 댓가가 있다는 걸 보여주는 것이 무척 중요하다. 그래야 우수한 창작 자원들이 지망하고, 뮤지컬 작가, 작곡가 되면서 산업이 활성화된다고 생각한다. 사람들이 흔히 이번에 성공했으니까 로열티 얼마나 받느냐고 묻는다. 지난 1년 간 벌은 돈을 자체적으로 ‘프랑켄슈타인’에 투자했고, 앞으로도 작품 제작에 투자할 생각이다. 그래서 더 많이 버는 모습을 보여줘야겠다 싶다. 후배들이 보기에 뮤지컬계가 ‘일한 만큼 응당 댓가를 받는 곳이구나’라고 느껴져야 할 것이다. 뮤지컬 창작 인력 부족에 대한 입장도 많지만, 단순히 상금을 걸고 대회를 연다고 해결될 일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