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바지 접어든 차기총리 인선…이장무 안대희 한광옥 등 물망

입력 2014-05-21 08:1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새 총리로 거론되고 있는 이장무 안대희 한광옥. (사진=뉴시스)

박근혜 대통령이 이르면 이번 주 새 총리 인선을 단행할 것으로 알려졌다.

21일 관련업계와 청와대 등에 따르면 현재 인물 검증을 비롯한 인선 작업이 거의 완료됐된 것으로 전해진다.

새 총리 지명은 박근혜 대통령 대국민담화에 이은 첫 번째 인적쇄신. 그만큼 내정자가 누구냐에 따라 여론이 요동칠 것으로 전망된다.

청와대 안팎에선 정무형·실무형 총리를 비롯해 화합형 총리를 구상해왔다. 현재 국가적 재난 상황에 어떤 인물이 적합할지 다양한 의견이 오고간 것으로 전해진다.

무엇보다 기존의 틀을 깬 참신성 인사의 발탁도 가능성을 키우고 있다. 정치권 일각에선 또 한번의 ‘깜짝’ 인사 가능성도 대두되고 있다.

현재 청와대는 3~4명 정도를 후보군에 올려두고 인선을 고민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업계에서는 이장무 카이스트 이사장과 대검 중수부 출신의 안대희 대법관, 한광옥 국민대통합위원장 등이 후보로 거론된다.

정치권과 거리를 뒀던 이장무 이사장은 그동안 하마평에조차 올라 있지 않았던 점에서 새 얼굴로 평가된다. 박 대통령과 같은 공대 출신으로 서울대 공대 기계항공학부 교수와 서울대 총장을 지냈다.

안대희 전 대법관도 후보로 거론된다. 박 대통령이 대선 후보였던 당시 정치쇄신위원회 위원장을 맡았다. 선뜻 자리에 오른 것이 아닌. 박근혜 대통령 후보의 거듭된 요청이 있었던 것으로 전해진다. 한나라당 당시 일명 '차떼기' 사건을 직접 파헤쳤던 인물이기도 하다.

한광옥 위원장은 11, 13, 14, 15대 4선 국회의원 출신으로 고향이 전북 전주다. 지난 2012년까지 민주통합당(현 새정치민주연합) 상임고문을 맡다 18대 대선 때 새누리당에 입당했다. 이런 이력은 여야를 아우를 화합형 리더에 적합하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한편 새 총리 인선과 함께 조만간 진행될 개각의 폭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우선 세월호에 직·간접 책임이 있는 안행부 해수부, 교육부 장관과 현오석 경제팀이 물러날 가능성이 높다는 게 일반적인 관측이다.

여권 관계자는 “국가개조 수준으로 개혁하기 위해서는 부분개각보다 전면개각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많다”며 “청와대에서도 전면 개각 또는 그에 준하는 수준의 개각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